어려서 읽은 동화가 실은 병적인 어른 심리를 바닥에 깔고 있다는 걸 알고 놀라울 때가 있다. 그림 형제 동화 중 하나인 ‘백설공주’ 에서 왕비는 매일마다 마법 거울 앞에서 “거울아 거울아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니?” 라고 말하곤 했다(억양까지 잊혀지지 않는 대사).
왕비가 제일 예쁘다는 말을 듣는 동안은 평온했지만 어느 날 솔직한 거울이 백설공주가 세상에서 제일 예쁘다고 말하자 온갖 사단이 벌어지기 시작한다.
왕비는 허영이 지나쳐 자기보다 예쁜 여자는 살려둘 수 없다는 정신병으로 발전하고 말았다. 뛰어난 심리 해설자인 버트런드 러셀은 <행복의 정복> 책 초반부 부터 허영의 심리에 대해서 예리하게 파헤친다. 허영은 행복을 망치는 심리이고, 그걸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 반대인 ‘사랑하는 능력’ 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허영심이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모든 활동에서 얻을 수 있는 즐거움을 말살해 버리기 때문에, 허영심이 지나친 사람은 결국 무기력과 권태에 빠지게 된다. 허영심은 자신감이 부족한 데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존감을 키워야 허영심을 치료할 수 있다. 자존감을 기르는 유일한 방법은 외부적인 대상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한 활동에서 성공을 거두는 것 뿐이다.
지나친 허영은 자신감의 부족으로부터 온다고 말하고 있다. 놀라운 해석이다. 자존심이 너무 세서 허영심이 강한 것이라고 흔히들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자신감이 없는 사람이 불안해지고 공허해지고, 결국 그걸 메우기 위해 허영에 빠지는 게 맞다. 결국 허영심은 과거 자존심에 상처를 받았던 기억으로부터 오는 반동 심리, 병적 심리가 된다.
그래서 허영심 에서 탈출하려면 먼저 상처의 기억으로 크게 어그러져 버린 자아의 감옥을 허물고, 즐겁고 사랑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사랑을 주고 사랑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인간의 본능은 완전한 자기중심성과는 거리가 멀고, 자기도취적인 경향이 있는 사람은 죄의식에 사로잡힌 인간과 마찬가지로 늘 자신을 인위적으로 제약하기 때문이다.
자아의 감옥에서 벗어난 사람이 가진 특징 중에는 진정한 사랑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된다. 사랑은 받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받는 사랑은 마땅히 베풀어야 할 사랑을 해방시켜야 한다. 이 두 종류의 사랑이 비슷한 수준으로 존재할 때 사랑은 그 최대의 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다.
자기 중심적이지 않은 사람은 남을 잘 사랑해주는 능력도 갖춘다. 이 능력이 있는 사람은 외모가 아니더라도 매력있게 느껴진다. 예를 들면 오프라 윈프리 같은 여성이다. 그녀는 자신감이 넘치지만 오만하지 않다. 이해심이 있으며 말을 재치있게 한다. 사람을 끌어들이는 매력들이다. 허영심을 버리고 대신 가져 볼 만한 미덕이다.
책의 제목은 ‘행복의 정복’. 지구상 모든 사람은 행복해지기 위해 별별 노력을 다 하고 있다. 월급보다 큰 돈을 들여 여행을 떠나고, 우울증에 약을 먹거나, 술 담배 마약을 취미로 삼고, 목숨걸은 불륜에 빠지기도 한다. 그런데 저자는 행복을 정복한다고 말하고 있다. 딱 자기 기준으로 상담해주는 사람에게 많이 속아보았다면, 혹은 우울에 푹 잠겨있는 사람이라면 제목을 본 순간 냉소할 것 같다.
나 역시 이해심 없는 사람에게 고민을 털어놓아 본 적이 있다. 내가 느끼는 고난을 자세히 말해도, 말은 벽에 던진 배구공이 튕겨 나오듯 그 사람에게서 튕겨져 나오는 것 같았다.
상대를 판단한다는 것과 이해한다는 것의 차이는 상대에게 애정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자기 중심적인 사람은 자기만 사랑하기 때문에 대화를 아무리 나누어도 다른 사람에게 위안을 주지 못한다. 반면 자신을 사랑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 사물을 사랑하는 사람은 위안을 널리 퍼트릴 수 있다. 이 책의 저자가 바로 그런 사람이다.
버트런드 러셀은 1872년 영국의 명문 백작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그가 세 살 때 디프테리아 감염으로 세상을 떠났고 2년 뒤에는 우울증에 시달리던 아버지가 기관지염 합병으로 사망한다. 이후 러셀은 조부모의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친할아버지 존 러셀은 1878년 세상을 떠났는데, 러셀은 할아버지를 휠체어에 탄 친절한 늙은 신사로 기억했다.
러셀은 공교육에 반대한 할머니 덕분에 집안에서 가정교사으로부터 교육을 받았는데, 이는 19세기 후반 사상 혁명기에 엘리트 교육을 받는 장점이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대인공포증도 키워준다(또래 아이들과 어울리지 못했으니). 백작 할머니는 종교적으로 보수적이었으나, 종교 이외의 부분에서는 진보적이었고 손자에게 사회적 정의에 대한 시각을 심어준다. 할머니가 좋아하던 성서 출애굽기의 구절(23:2) “다수의 사람들이 잘못을 저지를 때에도 그들을 따라가서는 안 되며, 다수의 사람들이 정의를 굽게 하는 증언을 할 때에도 그들을 따라가서는 안 된다” 는 러셀의 좌우명도 되었다.
러셀의 사춘기는 굉장히 고독했으며, 몇 차례 자살 충동까지 느꼈다고 회고했다. 자살하지 않은 이유는 수학이 재미있어서 조금이라도 더 공부해보고 싶어서였다고 한다. 종합하면 영국 명문가에서 태어났지만 양친은 빨리 죽고, 대인공포증과 우울증이 생겼지만 수학 공부하고 싶어서 자살 안 한 특이한 유년기이다. 아픔을 딛고 일어나 훗날 20세기를 대표하는 천재 철학자, 수학자, 사회 개혁가가 되고 노벨상 까지 타게 되는 걸 보면 인간 마음의 노력은 정말 많은 걸 가능케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는 우울 속에서 투쟁하며 행복을 쟁취했다. 너무 우울하면 다른 좋은 사상을 느끼고 이해할 머리도 없어지고, 지쳐서 잠만 자고 싶어진다. 거꾸로 말하면 밝은 마음으로 공부하고, 잠만 자는 게 아니라 즐거운 일에 몰두한다면 행복해진다는 뜻이다. 행복은 분명히 그 길 안에 있고, 사람을 그리로 이끄는 것은 노력과 운명이다. 러셀은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심리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 길로 들어섰다. 그가 빠져있었던 심리적 소용돌이와 극복 방법들은 책을 읽으면 알 수 있다. 서술은 과장되어 있지 않고, 어떤 유형의 인간에 대한 증오심을 드러내지도 않으며, 따뜻한 휴머니즘에 기반해있다. 그래서 책을 다 읽고나니 제목이 전혀 거만하지 않다고 느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