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단순한 열정

아니 에르노 <단순한 열정> – 사랑의 모양

 
 

Unable to perceive the shape of you,
그대는 어떤 모습으로 오는가
그대의 형체를 알 수가 없어서,
 
I find you all around me.
내 주위 사방으로 찾아 헤맨다.
 
Your presence fills my eyes with your love,
하지만 네 존재가 눈을 사랑으로 채우고,
 
It humbles my heart,
나의 마음은 숙연해진다.
 
For you are everywhere….
왜냐면 이 세상 가득 그대가 있으니…

 
 
신비로운 수중 생물과 농인 여자의 사랑을 그렸던 영화 Shape of Water(부제: 사랑의 모양)의 말미에 나왔던 시이다. 여자주인공(Elisa)은 목에 상처를 가지고 있었는데 바다에 들어가며 상처는 아가미로 변해, 사랑하는 이와 자유로이 함께 할 수 있게 된다.
 
이 영화의 플롯과 맺음 시는 ‘사랑의 모양’ 부제와 잘 어울린다. 물은 정해진 모양 없이 공간을 채우고 이리저리 흐른다. 인간의 사랑 또한 그러한데, 어느 순간 찾아와 존재(공간)를 젖게 하고 마음을 숙연케 한다(사방을 채운 신비를 느꼈기 때문에 이전의 좁은 마음에서 벗어난다는 걸 의미).
 
 

★2022년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 아니 에르노 Annie Ernaux 의 <단순한 열정 Passion Simple>



​ 
 
이 책을 아무 배경지식 없이 읽으면 “연하 유부남과 사랑에 빠진 아줌마의 독백이 왜 이렇게 길고 긴 걸까?”라고 생각하게 된다. 혹은 도덕적 관점에서 도무지 작품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마음이 들 수도 있다. 둘 다 작품의 주안점이 되지 못한다. 이때 <셰이프 오브 워터>를 생각해보자.
 
아니 에르노 작가는 물에 빠져서 호흡이 가빠지는 것처럼, 사랑에 젖어가는 자신을 표현하고 있다. 책의 초입의 이인감(異人感)에 대한 부분이다.

작년 9월 이후로 나는 한 남자를 기다리는 일, 그 사람이 전화를 걸어주거나 내 집에 와주기를 바라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나는 슈퍼마켓에 가고, 영화를 보고, 세탁소에 옷을 맡기러 가고, 책을 읽고 원고를 손보기도 하면서 전과 다름없이 생활했다. 그러나 오랫동안 몸에 밴 습관이 아니었다면, 그리고 끔찍스럽게 노력하지 않았다면, 이런 일상마저 내게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특히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때면 내가 완전히 넋을 잃고 사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말이나 문장, 웃음조차도 내 생각이나 의지와는 무관하게 내 입 속에서 저절로 생겨나는 듯했다. 게다가 나는 내가 한 행동, 내가 본 영화, 내가 만난 사람들을 또렷이 기억해낼 수가 없었다. 나의 모든 행동이 자연스럽지가 않았다. 내 의지나 욕망, 그리고 지적 능력이 개입되어 있는 행동(예측하고, 찬성하고 반대하고, 결과를 짐작하는)은 오로지 그 남자와 관련된 것뿐이었다.

 
의지와 욕망, 지성으로 선택한 것은 오로지 이 남자의 존재에만 결부된다. 눈에 사랑이 드리워져(Your presence fills my eyes with your love), 나는 내가 아닌 것 같고, 생활은 마비될 지경이다.
 
그런데 이 어마어마한 감정을, 작가 스스로가 “평평한 글쓰기ecriture plate”라고 부르는 문체로 표현했다는게 이색적이다.
 
현재의 감각(혹은 이념)에 충실하지 않으면 잡념이 생기고 생활에 감동이 없어진다. 바쁜 수험생이나 직장인의 무미건조한 표정에서 그걸 읽을 수 있다. 반면 아니 에르노는 모든 존재를 기울여 사랑하는 자신의 감각(전혀 무미건조하지 않은 이데아)을 무미건조한 문체(형식)로 내보임으로써 역설적 효과를 낸다.
 
책의 말미에서 그녀는 연인과의 사랑을 매개로 생긴 결과물을 이야기 한다.
 

그 사람이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인지 아닌지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리고 지금은 그 모든 일들이 다른 여자가 겪은 일인 것처럼 생소하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 사람 덕분에 나는 남들과 나를 구분시켜주는 어떤 한계 가까이에, 어쩌면 한계를 뛰어넘는 곳까지 접근할 수 있었다.
나는 내 온몸으로 남들과는 다르게 시간을 헤아리며 살았다.
나는 한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해 얼마만큼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지도 알게 되었다. 숭고하고 치명적이기까지 한 욕망, 위엄 따위는 없는 부재, 다른 사람들이 그랬다면 무분별하다고 생각했을 신념과 행동, 나는 이 모든 것을 스스럼없이 행했다. 그 사람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나를 세상과 더욱 굳게 맺어주었다.
그 사람은 “당신, 나에 대해 책을 쓰진 않겠지” 하고 말했었다. 나는 그 사람에 대한 책도, 나에 대한 책도 쓰지 않았다. 단지 그 사람의 존재 그 자체로 인해 내게로 온 단어들을 글로 표현했을 뿐이다. 그 사람은 이것을 읽지 않을 것이며, 또 그 사람이 읽으라고 이 글을 쓴 것도 아니다. 이것은 그 사람이 내게 준 어떤 것을 드러내 보인 것일 뿐이다.

 
초입에 느꼈던 이인감이 재현되고 있다. 남자를 만나고 떠나보낸 일을 남이 한 경험처럼 느낀다. 스스로를 잊을 만큼 사랑해서 시간도 다르게 느껴졌다. 그리스어 어원의 카이로스(kairos)는 개인의 체험에 따라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는 시간을 뜻한다. 첫 사랑과 입맞춤 하는 때 같은 최고 최상의 순간(the supreme moment)에는 시간이 아득히 멈춘 것 같은데, 그런 카이로스를 내내 산것 같다.
 
‘그 사람의 존재로 내게로 온 단어들을 글로 표현’했다는, 공간을 채우는 물처럼 사랑이 마음을 채웠고, 그게 언어의 형태를 띈 작품이 되어 외부로 흘러갔다는 걸 의미한다.
 
한 사람을 사랑함으로써 자신이 변해가는 모습을 순수히 드러낸 작가님에게 경의를 표하고 싶고, 노벨상 수상도 기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