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오타니요시쓰구

세키가하라 전투 II – 이에야스의 책략

메이지유신 성공 후 일본의 신정부는 프로이센과 프랑스간의 전쟁인 보불전쟁에서 승리한 독일 육군의 편제와 전술을 도입하고자 했다. 그래서 독일의 클레멘스 메켈 소령을 군사고문으로 초빙했는데 일본인들은 메켈에게 결과를 알리지 않은 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양군의 병력 포진도를 보여주었다. 메켈은 서군의 승리를 장담했다.

하지만 실제 전투의 결과는 한 나절도 버티지 못한 서군의 참패였다. 서군의 주요 다이묘였던 이시다 미쓰나리, 오타니 요시쓰구, 우키타 히데이에, 고니시 유키나가의 3만 3천여명 군대는 전투에서 괴멸, 와해되었다.

전투 시작 당시 서군 측의 미쓰나리는 사사오 산(笹尾山)에, 우키타 히데이에는 덴만 산(天満山),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는 마쓰오 산(松尾山)에 각각 포진했다. 게다가 총대장을 맡은 모리 가문을 대표해서 참전한 모리 히데모토는 전선 후방의 난구 산(南宮山)에 주둔해서 동군의 퇴로를 끊는 위치에 있었다.

하지만 동군의 총 대장 이에야스는 산 아래 좁은 분지에 학익진(鶴翼の陣) 형태로 포위된 진세를 상관치 않고 전투를 시작한다. 외교 책략으로 이미 모리와 고바야카와의 배신을 확정지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모리 데루모토는 석고 120만석으로 서부 일본의 최대 다이묘이자 히데요시 정권하 다섯 유력 다이묘의 모임인 고다이로(五大老,오대로)의 일원이었다. 데루모토는 서군의 총 대장으로 추대되었지만 전쟁에 대한 모리 가문내의 의견이 갈라져 있었기 때문에 우유부단한 태도를 취했다. 결국 그는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전하지도 않고 오사카 성에서 후계자 히데요리를 보호하며 자중하고 있었다.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는 히데요시의 정실인 네네의 조카였던 인연으로 추코쿠의 다이묘였던 고바야카와가의 양자로 들어간 인물이다. 서군 내에서 주력군을 이루는 약 1만2천의 군대를 거느리고 있던 그는 전투 전 이미 이에야스측과 내통한 상태였다. 결전 초기 서군에 우세한 전세가 펼쳐지자 사태를 방관하며 그대로 산 위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초조해진 이에야스 측의 위협 사격을 당했고, 결국 아군의 허리를 찌르는 결정적인 배신을 감행한다.

서군의 실질적인 총수 이시다 미쓰나리는 동군과 대등한 병력을 집결시켜서 유리한 위치에 포진시켰지만 전군을 일사 분란하게 지휘할 수가 없었다. 서군을 대표할 직위도 없었고 이에야스처럼 자기 영지에서 대군의 중추가 될 병력을 동원할 수도 없었기 때문이다. 만약 히데요리가 장성한 성인이어서 전쟁터에 참전할 수 있었다면 그 상징성 때문에 싸움의 양상 자체가 달라졌을 것이다. 하지만 당시 히데요리는 오사카 성 밖을 나가본적도 없던 8세의 어린아이였다. 그래서 이에야스는 히데요리가 크기 전에 전쟁을 일으키려고 동분서주했다.

이에야스는 영지에서 약 7만명의 하타모토(旗本;はたもと;다이묘직계군사)를 동원했고 이중 반을 세키가하라에 투입했다. 그리고 전쟁 전 외교 책략으로 서군을 분열시켜 놓았다. 결국 전투를 방관한 모리 군과 전투 중에 창 끝을 돌린 고바야카와 군으로 인해 세키가하라의 승부는 결정되었다. 클레멘스 메켈 같은 전문 군인이 금방 예측했던 포진 상의 우위를 정치적 책략으로 무력화시킨 이에야스의 승리였다.

세키가하라 전투 I – 천하를 가르는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는 서기 1600년 음력 9월 15일에 미노 국 세키가하라(현 기후 현 후와군 세키가하라마치)에서 벌어진 일본 역사상 최대 규모의 결전이다. 천하를 가르는 전투(天下分け目の戰い; 텐카와케메노 타타카이)로 불리는 이 결전에서 일본 전국의 다이묘(봉건 영주)들이 두 패로 나뉘어 싸웠다. 한 편은 전국시대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총신 이시다 미쓰나리가 지휘했던 서군이었고, 다른 편은 히데요시 사후 정권을 노리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군이었다. 양측에서 각각 약 10만의 병력을 동원해 결전을 벌였지만 전투는 불과 한 나절 만에 끝난다.​

타이코라는 직위로 일본 전국을 통치하던 히데요시가 죽었을 때 그를 이은 건 불과 6세의 후계자 도요토미 히데요리였다. 전국 최대의 다이묘로 약 255만석의 석고를 가지고 있던 1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정권을 빼앗으려는 야심을 품는다. 히데요시는 죽으면서 나름의 안전장치를 강구해두었었다. 고다이로(五大老;오대로)와 고부교(五奉行,오봉행) 조직이 그것이다. 고다이로는 당시 전국에서 가장 세력이 강했던 다섯 명의 대 다이묘 연합체였다. 유력 다이묘들이 세력 균형을 이뤄 히데요리의 권력이 침범받는 일이 없도록 했다. 고부교는 도요토미 정권에서 행정의 실권을 쥐었던 다섯 명의 관료 연합체이다. 현대 정부로 치면 주요 장관 모임과 비슷하다. 이시다 미쓰나리는 고부교의 일원이었다.

히데요시는 고다이로들이 서로 견제하고, 고부교는 자신이 남긴 행정 지침에 따라 유력 다이묘들을 제한하는 체제를 구상했다. 하지만 문제는 고다이로의 수장 격인 이에야스의 힘이 너무 거대하다는데 있었다. 이에야스는 부교들의 행정 권한을 무력화하면서 자신을 거역하는 다른 다이묘들을 토벌하려 했다. 물론 이에야스는 속마음을 감추고 어린 후계자인 히데요리를 보호하기 위해 전쟁을 치르는 거라고 선전했다. 이에 미쓰나리는 불과 19만석의 소 다이묘였지만 도요토미가에 대한 충성을 기치로 반 이에야스 세력을 결집시킨다.

세키가하라 전투는 그동안 수많은 문학과 영상 작품을 통해 다루어졌다. 그중 시바 료타로作 동명 소설인 <세키가하라 전투>는 이상과 안위, 세력과 세력 사이에서 고뇌하는 인간 군상을 흥미롭게 묘사해 놓은 작품이다. 아래는 감명깊이 읽었던 소설 속 장면이다. 미쓰나리의 맹우인 오타니 요시쓰구는 히데요시의 촉망받는 부하였지만, 문둥병에 걸려 시력을 잃은 후 반 은거상태에 있었다. 그는 패배할 것을 알면서도 친구 미쓰나리를 위해 서군 측에 가담하여 싸운다. 한 때 호각을 이루던 전세가 아군측 다이묘의 배반이 속출하여 완전히 기울어졌을때 전쟁터에서 할복 자살함으로써 장렬한 생애를 마친다.

“슬슬 배를 가르겠네.” 요시쓰구가 이렇게 중얼거렸을 때 측근 30명 정도가 마지막 돌격을 건의했다.
“쓸데없는 일, 각자 알아서 자신의 목숨을 건사하게나.” 요시쓰구는 말했다.

하지만 그들은 듣지 않고 “긴고 주나곤 향해 원한의 창을 겨누고 기쁜 마음으로 죽고 싶습니다.” 하며 달려나가 시작했다.

요시쓰구는 큰 소리로 그들을 불러 세우더니 몸을 앞으로 내밀며 말했다.
“가려거든 가게나. 그런데 그대들도 알다시피 나는 소경이네. 그대들의 분전을 볼 수가 없어. 그러니 달려나가는 자들은 한 명씩 내 앞에 와서 이름을 말하도록.”

다들 요시쓰구의 가마 앞으로 말을 타고 나와 자기 이름을 댔다. 요시쓰구가 일일이 고개를 끄덕여주면 그들은 목례를 하고 적군 속으로 달려들어갔다. 고작 5만석의 낮은 신분이었지만 요시쓰구는 무사들의 인심을 얻고 있었던 것이다.

Notes:

  1. 도요토미가의 석고는 그보다 적은 약 220만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