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종(Hemagioma)은 혈관 조직이 이상 증식을 해서 발생한다. 왜 이상 증식을 하는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미숙아에서 혈관종 발생이 많은 걸로 보아 태내 성장 과정에서 산소 농도의 변화가 요인이라 추측된다.
귀여운 아기 머리에 발생한 혈관종
아기 피부의 선천적 혈관종이 아니더라도, 성인에서 과오종(Hamartoma)성 변화로 생길 수도 있다. 상처나 혈류 이상 등으로 정상조직이 과다 증식해 덩이를 이룬다는 의미이다.
카모마일 의원에 오신 환자 분의 병변도 그런 경우였다(글 표지 사진 참조). 머리에 빨간 작은 덩이가 만져져 타 피부과에서 레이저로 제거를 받았지만 재발을 해서 오셨다고 하셨다(레이저 치료 자체가 외상이 되어 다시 과오종성 변화). 머리를 감을 때마다 피가 나는 증상이 있었다.
혈관종 제거는 외과적 절제 혹은 피부 레이저 소작(燒灼)술로 한다. 혈관 조직이라 병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출혈이 많다는 점을 유의하고, 재발이 적도록 혈관 덩이가 없어지고 정상조직이 확인될 때까지 소작 해야 한다. 아래에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시술 장면을 설명과 함께 동영상으로 올려 놓았다.
유도나 주짓수, 종합격투기를 수련하다 보면 귀가 상대와 부딪혀서 모양이 변할 수 있다. 오래 방치하면 잘 쪄놓은 왕만두와 똑같이 되는데 그래서 별칭 만두귀, 의학용어로는 이개혈종(Auricular Hematoma)이라고 한다.
사람 귀에는 피부 아래 연골(Cartilage)이 있고, 연골막(Perichondrium)이라는 조직이 연골을 싸고 있다. 연골과 연골막 사이에 피가 고여 혈종(Hematoma)을 형성해서 만두귀가 된다(아래 그림 참조).
발생 초기에(아직 피가 굳지 않아 빼기 쉬울 때) 고인 혈액을 배액시키고, 수련 때마다 헤드기어를 착용하면 만두귀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직업 파이터는 그럴 여유가 없고, 결국 긴 시간에 걸쳐 아래 사진의 하빕 선수처럼 변모하게 된다.
셔독(Sherdog) 선정 종합격투기 역사상 최고의 그래플러 하빕 누르마고메도프(Khabib Nurmagomedov)
이개혈종의 치료는 간단하다. 멸균 주사기 바늘을 부풀어 오른 귀의 혈종에 삽입해서 피를 빼는 것이다. 국민건강보험 「흡입배농 및 배액처치」 수가를 적용받으면 저렴한 가격에 동네 의원에서 처치를 받을 수 있다(진료 및 시술비 포함 평일 기준 1만원 정도).
또한 강력한 소염(消炎)작용의 스테로이드 주사를 사용하면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우리나라 고려대 의과대학 이비인후과에서 내놓은 연구 논문에서도 확인된 안전한 치료 방법이다(아래 사진 참조).
이개혈종(Otohematoma) 병변 내에 스테로이드를 주입(Intralesional steroid injection) 했더니 효과가 좋았고 재발도 적었다.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이개혈종 배액 시술의 동영상을 올려 두었다. 혈종을 두 군데 찔러 배액시키고, 주사기 바늘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린지(Syringe)를 교체해서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성분의 스테로이드를 주입했다.
눈꺼풀 주변에 여러가지 피부병이 생길 수 있는데 다래끼(맥립종; Stye)나 콩다래끼(산립종; Chalazion)가 대표적이다. 안구는 항상 촉촉해야 하기 때문에, 점액을 분비하는 샘 (gland) 조직이 여기저기 분포해 있다. 이런 샘에 피부 표면에 있는 세균, 바이러스가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면 맥립종이나 산립종을 형성하게 된다.
(좌) Chalazion 콩다래끼 (우) Stye 다래끼
간단한 다래끼는 소독된 수건에 정수기 뜨거운 물을 묻힌 다음 식혀서 하는 온찜질을 하루 5~10분 정도 하면 낫는다. 그래도 계속되면 안과나 가정의학과 의원에서 항생제 점악액이나 연고를 처방 받아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아래 사진 같이 단단히 굳은 다래끼는 이 정도 치료로 낫지 않는다.
하안검(下眼瞼)에 생긴 다래끼
사진 출처 https://www.reviewofoptometry.com/article/excise-and-conquer-adding-minor-surgical-procedures-to-the-optometric-office
이 경우 국소 마취 하에 절개 및 소파술(Incision and curettage; 칼로 째고 긁어내는 것)을 시행하는 게 전통적인 치료 방법이다(상기 사진 참조). 하지만 작은 다래끼는 간단한 레이저 시술로도 없앨 수 있는데, 이미 1988년도 부터 여러 사례 논문이 발표되어 왔다.
사진 출처 https://pubmed.ncbi.nlm.nih.gov/3419780/
카모마일 의원에 오셨던 환자 분도 안과에서 연고를 처방 받아 매일 사용했지만 2주 이상 다래끼가 지속되었다고 하셨다. 그래서 시술을 받기로 했고, 리도카인 크림으로 눈꺼풀 피부를 마취, CO2 레이저를 이용해서 제거했다. 안구에 레이저 빔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 외에는 아주 간단한 시술이다.
아래에 시술 과정을 보여주고 설명하는 동영상을 올려 두었다. 곪아 버린 다래끼의 치료는 국민건강보험의 절개배농(Incision and Drainage)을 적용 받아 저렴한 가격에 치료 받을 수 있다.
쥐젖은 피부 정상 조직이 마찰 등의 이유로 더 자란 것이다. 전문의학용어로는 ‘피부연성섬유종’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피부에 있는 부드러운 섬유질의 종양이라는 뜻이다.
유전적 요인으로 더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예방은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는 것이다. 때밀이 자주 하지 말고, 손가락으로 긁지 말고, 꽉 끼는 옷 대신 편한 면 소재 옷을 입는 실천을 하면 좋다.
그런데 일단 쥐젖이 생기면 저절로 없어지기 보다는 마찰로 인해 점점 커진다. 카모마일 의원에 환자로 오셨던 분의 사례도 마찬가지로, 4~5년 전에 등에 있는 쥐젖이 처음 발견되었는데, 이후 커져서 지금은 낑깡 만한 크기가 되어버렸다.
쥐젖이 커져서 과일만한 크기가 되었음. 가는 줄기만 태우면 덩이를 통째 제거할 수 있음.
큰 쥐젖을 없애는 데 가장 좋은 기계는 CO2레이저 이다. 수술용 가위로 뎅강 자를 수도 있지만, 출혈 방지 면에서 안 좋다. 레이저 열로 태우면 조직 소작(燒灼)과 출혈 관리를 같이 할 수 있어서 좋다.
이 정도로 큰 쥐젖을 집에서 없애는 건 더욱 추천 하지 않는데, 소독이 제대로 안 된 상태에서 잘라낼 경우 상처 감염과 벌어짐(Dehiscence)이 흔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아래 사진 참조).
DermNetNZ에 실린 피부 시술 후 합병증 사진들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한 큰 쥐젖 제거 시술 동영상을 올려두었다. 리도카인(Lidocain) 크림 마취 20분 유지 후, 시술은 3~4분 만에 끝났다. 그만큼 간단한 피부 질환이다.
‘긁어 부스럼 만든다’는 속담이 있는데 표피낭종(Epidermoid Cyst)이 바로 그런 경우이다. 작은 뾰루지 같은 걸 손가락으로 만지다 커져서 생긴다. 얼굴이나 목, 등 부위 피부에 동그랗게 솟아올라 있는데, 꼭대기가 까맣고 움푹 들어간 구조라 다른 피부병과 구분이 된다.
사진 출처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Schematic-diagram-of-cyst-excision_fig2_260132237
피부 아래에 단백질 찌꺼기 성분이 찬 주머니가 있는데, 이걸 없애기 위해 수술용 칼(Scalpel)로 절개를 할 필요는 없다. 그렇게 하면 흉터가 필수적으로 남기 때문이다.
상기 사진처럼 레이저로 표면에 구멍을 내고, 농을 짜낸 후, 껍데기를 꺼내면 치료가 끝난다. 농을 안 짜고 주머니를 꺼내려면 작은 구멍으로 나올 수가 없기 때문에 배액을 먼저 한다. 커다란 농 덩이가 느타리버섯 모양으로 솟는데 그 크기를 보고 놀라시는 경우도 많다.
쇄골 뒷편, 등의 상부에 발생한 표피낭종에 구멍을 뚫고 최대한 농을 짜낸 상태.
국소마취 주사로 진행할 수 있고, 피부과 일반외과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주로 하는 시술이다. 국민건강보험의 종기 배액 수가를 적용받으면, 의사 진료비 포함 2만원 이하의 금액에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시술 동영상을 올려 두었다.
2021년 6월 세계 최초로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 치료제가 미국 FDA에서 승인 되었다. 진료실에서 이 소식을 전하면 환자분들이나 보호자분들은 지금까지 복용해온 아리셉트나 에빅사 혹은 뇌영양제 글리아티린은 무슨 약이냐라고 되물어 보신다.
기존의 약제들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으로 되어 있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을 없애는 원인 치료제가 아니라, 치매 질환으로 인한 결과인 기억력, 인지기능 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말하자면 원인을 없애지 못하지만 결과는 수습해주는 약이다.
치매 아밀로이드 단백 이론을 설명하는 사진. 심각한 단계의 치매(Severe Alzheimer’s)에 도달하면 뇌조직의 위축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가장 질문을 많이 받는 글리아티린 뇌영양제는 그야말로 뇌신경에 영양분을 주는 것으로,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건망증 완화 효과가 확인된 몇몇 연구만 있을 뿐 근본 치료제가 아니다.
신약 아두카누맙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없애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치매 치료에 획기적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미국 FDA 승인 과정에서 3명의 전문의원이 반발하여 사퇴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Aduhelm은 아두카누맙(Aducanumab) 성분 약의 상품명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었다. 베타 아밀로이드 가설 논문에 대한 충격적인 조작 스캔들이 터져 신약의 효과에 더욱 의문이 생기고 있다.
미국의 유수 대학인 밴더빌트대 의과대학 교수인 매튜 슈래그(Matthew Schrag)는 아두카누맙과 같은 계열의 신약 후보물질의 분석을 의뢰받아 진행하는 도중에, 2006년 미국 미네소타대학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의 조작 가능성을 밝혀냈다. 이 논문은 인용 건수가 2,200회 이상인 저명 연구였기 때문에 파장이 커졌다.
https://pubmed.ncbi.nlm.nih.gov/16541076/
치매 치료제 개발의 근거 논문이 가짜여서 이제까지의 연구가 무용하게 될 수 있다는 내용
현시점에서 가장 믿을 만하고 전반적 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되는 치매 예방법은 ‘운동’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세계적으로 인증된 연구 논문들을 널려있다. 먼저 우리나라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2021년 미국의사협회지(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iation)에도 수록된 연세대 세브란스, 분당 차병원, 인제 백병원 교수님들을 저자로 한 논문이 있다.
65세 이상 62,286명을 대상으로 국민건강 보험의 건강검진 기록을 참고해서 치매 발생 패턴을 밝혀냈다. 결론은 노인 인구에 있어서 육체 활동을 많이 하는 것, 그리고 굳이 격렬한 운동이 아니어도 약한 운동(LPA; light-intensity physical activity)을 조금이라도 하는게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Harvard Health Publishing에도 수록되었는데, 연구 대상자 수가 6만명 이상의 대규모라는 것 외에도 연구 설계의 우수성이 전문가 저자에게 인정 받은 것이다.
Harvard Health Publishing에 수록된 운동의 치매 예방 관련 국내 논문
세계 최고의 의학 연구지로 인정받는 NEJM(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실린 다른 치매 예방 논문을 보겠다. 운동을 포함한 레저활동(Leisure Activities)과 치매 발생의 연관관계를 연구했다.
488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무려 21년 동안 데이터를 수집했다. 그랬더니 결과는 책 읽기, 보드게임, 악기 연주, 춤 같은 활동이 치매 위험을 줄여준다는 것이었다. 이런 레저 활동은 치매의 가장 많은 원인인 알츠하이머병 뿐 아니라, 두번째로 많은 원인인 혈관성 치매의 발생 위험까지 줄여주었다.
운동을 포함한 레저 활동은 알츠하이머 치매 뿐 아니라 혈관성 치매의 위험성도 줄여줌
진료실에 있으면 뇌에 좋다고 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다. 광고처럼 효과가 있다면 좋겠지만 대부분은 그냥 순수한 영양제이다(가성비가 좋지 않다). 질병의 근본 치료가 아니므로, 가장 검증된 예방법인 매일의 운동을 권하고 싶다. 운동도 이왕이면 사람들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노년기의 고립은 그 자체로 치매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아래 사진의 뉴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