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을 쓰다가 새 아이폰으로 바꾸게 되면, 데이터 이전을 하는데 방법이 간단하다. 구 아이폰을 곁에 두고 새 아이폰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폰 데이터를 모두 이전할 거냐고 묻는 창이 뜬다. 그대로 진행하면 연락처, 문자메시지, 캘린더, 통화 목록, 설치된 앱의 마지막 사용 지점까지 완벽하게 옮겨 준다. 은행이나 증권 어플용 공인인증서도 그대로 같이 깔린다.
안드로이드 폰도 마찬가지의 기능있는데, 1) 구글이 기본으로 제공하는 백업 복원이 있고, 2) 스마트폰 제조사가 제공하는 이전 어플리케이션도 있다. 삼성 갤럭시에는 ‘삼성 스마트 스위치 모바일’, LG 스마트폰에는 ‘LG 모바일 스위치’ 가 있고, 소니 엑스페리아에는 ‘Xperia Transfer 2’ 라는 고유 앱이 있다.
세컨 폰으로 사용하던 을 로 교체하고 앱을 써봤는데, 아이폰 마이그레이션 만큼은 완벽하진 않아도 만족스러웠다. 은행공인인증서를 그대로 옮겨 주는 기능만 안 되었고, 와이파이 비번도 앱 설정도, 읽던 eBook이나 만화책 마지막 페이지까지 그대로 옮겨주었다.
먼저 기존 폰과 새로 산 폰 둘 다에서 구글 플레이에 들어가 Xperia Transfer 2 앱을 설치한다.
(좌) 엑스페리아 1 II (우) 엑스페리아 XZ 프리미엄
컴퓨터를 조립할 줄 알면 돈을 아낄 수 있다. 인터넷과 사무 작업이 빠른 오피스PC는 펜티엄 골드 CPU, 8기가 램, SSD는 있어야 하는데, 이 사양을 대기업 완제품으로 하면 본체가 60만원 이상이지만, 새 부품을 다 사서 조립하면 30만원 초반에 해결 가능하다. 윈도우 운영체제 비용을 별도로 하면 반값이라 생각하면 된다.
(좌)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대기업 사무용 PC 본체 가격 (우) 같은 사양으로 조립 부품을 다 산 경우 견적
데스크탑 컴퓨터 부품들의 최고 중추는 CPU와 메인보드이다. 만약 게임을 전혀 안 하는 사무용 PC를 조립한다면, CPU는 <인텔 펜티엄 골드 G5400>나 <AMD 애슬론 200GE>로 하고 가성비 칩셋 H310(펜티엄골드 용)나 A320(애슬론 용)의 메인보드를 선택하면 무난하다. 최근 CPU 시장에서 대세로 떠오른 AMD 라이젠은 사무용으로만 쓰기 과분할 정도이다. 펜티엄이나 애슬론 같은 가성비 CPU는 5~8만원 대에 구입할 수 있지만, 라이젠은 저가형도 기본 10만원 대 초반 이상이다.
https://www.tomshardware.com/news/athlon-200ge-vs-pentium-gold-g5400,38260.html
펜티엄 골드 G5400와 애슬론 200GE 둘 다 내장그래픽이 있어서 따로 외장 그래픽카드를 살 필요가 없어 좋다. 그럼 다음으로 중요한 부품은 램과 SSD(하드드라이브)가 된다.
램은 16기가(8기가램 두개로 듀얼채널 구성하기)로 하면 8기가 단일 램을 쓸 경우와 비교해 확실한 성능 향상이 있다. 그리고 SSD에서 현 시점 대세는 2.5인치 SATA형 SSD가 아닌 M.2 NVMe PCIe 이다.
(좌) 2.5인치 SATA SSD (우) M.2 NVMe PCIe SSD
Best SSDs 2021: From Budget SATA to Blazing-Fast NVMe
2021년 추천 제품을 선정하는 상기 기사에서 최고 성능의 M.2 SSD는 삼성 980 Pro 가 선정되었고, 최고 가성비 제품은 웨스턴디지털(WD)사의 SN550 Blue 가 뽑혔다. 이 기사에서도 고전적 SATA SSD는 제일 속도가 느리다고 언급되어 있다(SATA is slowest: SATA isn’t as fast as M.2 PCIe or a PCIe add-in card).
어느 메인보드에나 SATA 단자는 있지만, 구식이나 저가형 메인보드에는 M.2 단자가 없다. 먼저 메인보드 사양을 확인 후 제품을 구입하면 된다.
대부분의 인기 메인보드는 M.2 단자를 갖췄다.
아이맥 27인치 5K 화면은 정말 크다. 해상도가 5120 X 2880 인데, 아이폰 레티나 화면을 27인치에 다 채운 것 같다. 이렇게 넓은데 보조 디스플레이가 과연 필요할까 생각이 들 수 있다. 하지만 사이드카 기능을 막상 사용해 보니 정말 편했다.
예전에는 ‘듀엣 디스플레이’라는 1만2천원 짜리 유료앱을 그런 용도로 썼다. 이제는 Mac OS 카탈리나 이상에서 무료로 기능을 쓸 수 있게 되었다.
사이드카를 쓰기 위해서는 카탈리나 설치가 가능한 아이맥, 맥북, 맥미니가 먼저 필요하다. OS 업그레이드가 제한된 구형 맥 기종들에서는 쓸 수 없다. 거기다 iPad OS 13이 돌아가는 아이패드/아이패드에어/아이패드프로를 조합해서 쓴다. 자세한 지원 기종 확인과 설정 방법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upport.apple.com/ko-kr/HT210380#preferences
맥 컴퓨터와 아이패드를 같은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두거나, 혹은 USB-C로 연결한다. 맥의 설정에 들어가면 사이드카 기능 창이 바로 보이고, Mac의 메인 스크린에 iPad 화면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상하좌우 어느 쪽에 배치할 지는 디스플레이 메뉴에서 정하면 된다.
큰 Mac 화면에 작은 iPad 사이드카 화면을 쓰면 좋은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파이널컷프로 쓸 때 맥에 타임라인 두고, 아이패드에 파인더를 두면 미디어 파일 옮기기 편함.
2. 일상 업무 할 때도 아이패드 화면에 캘린더/To Do List 두고 메인 맥 화면에서 업무만 하면 편함.
3. 아이맥 위에 아이패드를 고정해두고 프롬프터로 쓸 수도 있음.
4. 아이맥 화면에서 아이패드 화면으로 이동하는 커서가 너무나 자연스러움, 버벅거림 전혀 없음.
아래에 사이드카를 사용한 아이맥과 아이패드의 구동 장면을 올려두었다.
최신 노트북에는 썬더볼트가 기본 지원되는 경우가 많다. 이 포트는 전원공급 능력이 대폭 향상되어서, USB-C 케이블만 연결하면, 모니터 출력까지 된다. 모니터 연결이 지원되는 특수 형태 USB-C(DP Alt Mode라고 함, 그냥 USB-C는 영상 출력 기능이 없음)나 썬더볼트에 연결되어 쓰이는 휴대용 모니터도 대중화되고 있다.
사진 출처 https://blog.macsales.com/55946-whats-the-difference-between-thunderbolt-3-and-usb-c-and-which-should-you-use/
3세대 아이패드프로를 국내 발매 당일 구매해서 열심히 써보려 했었다. 처음 몇 달은 화면 큰 스마트폰 이상의 기능을 못했었는데, 이 기기를 유튜브 크리에이터용으로 쓰고 나서는 대단한 만족감을 얻기에 이르렀다. 아이패드프로는 카메라 성능도 쓸수록 좋다는 걸 느끼고, 태블릿 최적화 영상 편집프로그램도 만족이었다. 아래에 먼저 태블릿을 어떻게 거치해서 촬영을 하는지 동영상을 올려 두었다.
DSLR 카메라를 삼각대에 거치하는 것처럼 안정적이지는 않지만 꽤 괜찮은 모양의 거치가 가능했다. 게다가 이 아이패드 전용 거치대와 고정 암(arm)은 책장 모서리나 침대 모서리를 통해 아이패드를 붙여놓고 넷플릭스를 즐기는 데도 좋은 기능을 발휘했다. 심지어 누운 다음 얼굴 위에 아이패드 화면을 두는 것도 가능했다.
다음으로는 아이패드용 최고의 동영상 편집프로그램으로 꼽히는 루마퓨전을 이용해 어떻게 유튜브용 미디어 편집을 하는지 동영상을 올려 두었다(필자는 류마퓨전 만드는 회사와 아무 수익관계가 없습니다).
루마퓨전 앱은 가격이 현재 2만 5천원 밖에(현재 블랙프라이데이 할인 중) 안 한다. 매달 2만3천백원의 돈을 주고 구독해야 하는 프리미어프로 나 일회 구매로 끝나지만 가격이 30만원을 넘는 파이널컷프로 에 비하면 매우 착한 가격이다. 아이패드 만으로 비디오를 찍고 편집하고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하는 걸 몇 차례 해보았는데, 세밀한 작업이 아니라면 노트북PC/맥북이나 다른 기기의 도움 없이도 충분히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는 걸 확인했다.
★ iPad Pro 3rd gen. 11 inch 와 함께 사용한 주변기기 목록
– Leofoto Clamp IPC-300
– Leofoto AM-3Kit
– Manfrotto COMPACT LIGHT MKCOMPACTLT
– Apogee HypeMiC Microphone
– USB-C Digital AV Multiport Adap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