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젖은 피부 정상 조직이 마찰 등의 이유로 더 자란 것이다. 전문의학용어로는 ‘피부연성섬유종’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피부에 있는 부드러운 섬유질의 종양이라는 뜻이다.
유전적 요인으로 더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예방은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는 것이다. 때밀이 자주 하지 말고, 손가락으로 긁지 말고, 꽉 끼는 옷 대신 편한 면 소재 옷을 입는 실천을 하면 좋다.
그런데 일단 쥐젖이 생기면 저절로 없어지기 보다는 마찰로 인해 점점 커진다. 카모마일 의원에 환자로 오셨던 분의 사례도 마찬가지로, 4~5년 전에 등에 있는 쥐젖이 처음 발견되었는데, 이후 커져서 지금은 낑깡 만한 크기가 되어버렸다.
쥐젖이 커져서 과일만한 크기가 되었음. 가는 줄기만 태우면 덩이를 통째 제거할 수 있음.
큰 쥐젖을 없애는 데 가장 좋은 기계는 CO2레이저 이다. 수술용 가위로 뎅강 자를 수도 있지만, 출혈 방지 면에서 안 좋다. 레이저 열로 태우면 조직 소작(燒灼)과 출혈 관리를 같이 할 수 있어서 좋다.
이 정도로 큰 쥐젖을 집에서 없애는 건 더욱 추천 하지 않는데, 소독이 제대로 안 된 상태에서 잘라낼 경우 상처 감염과 벌어짐(Dehiscence)이 흔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아래 사진 참조).
DermNetNZ에 실린 피부 시술 후 합병증 사진들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한 큰 쥐젖 제거 시술 동영상을 올려두었다. 리도카인(Lidocain) 크림 마취 20분 유지 후, 시술은 3~4분 만에 끝났다. 그만큼 간단한 피부 질환이다.
차 에어컨 필터 교체가 책장에서 책 바꿔 끼는 것처럼 쉽다는 말을 듣고 실행에 옮겼다. 정식 렉서스 서비스 센터에서 받으면 공임료까지 해서 95,900원 정도 한다(아래 사진 참조). 인터넷으로 필터를 사서 자가 설치하니 12,900원이 들었다.
필자가 구매한 곳은 아래 링크의 네이버쇼핑 업체였는데, 렉서스 기종 연식 별 자세한 필터 규격표도 나와 있다.
에어컨 필터(car cabin air filter)는 조수석 글로브 박스 안의 케이스에 놓여져 있다. 아래 사진의 공식 매뉴얼에 따르면 아주 간단한 작업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한국형 네비게이션’ 모듈 박스가 필터 케이스 전방을 가로막고 있어서 설치가 아주 까다로웠다.
정석대로라면 네비게이션 모듈을 다 제거하고 필터 교체를 하겠지만, 네비 연결선을 빼었다 다시 다 끼고, 공구를 사용해서 모듈을 제거하는 것도 번거로워서 그냥 수작업으로 밀어 넣듯이 교체를 해보았다. 다행히 필터 성능에 문제가 없었고, 바꿔끼자 마자 송풍구로부터 공기 흐름이 시원하게 뚫려 나와서 좋았다.
아래에 전체 교체 과정을 동영상과 자막으로 설명해 두었으니 참고 바란다.
Unable to perceive the shape of you,
그대는 어떤 모습으로 오는가
그대의 형체를 알 수가 없어서,
I find you all around me.
내 주위 사방으로 찾아 헤맨다.
Your presence fills my eyes with your love,
하지만 네 존재가 눈을 사랑으로 채우고,
It humbles my heart,
나의 마음은 숙연해진다.
For you are everywhere….
왜냐면 이 세상 가득 그대가 있으니…
신비로운 수중 생물과 농인 여자의 사랑을 그렸던 영화 Shape of Water(부제: 사랑의 모양)의 말미에 나왔던 시이다. 여자주인공(Elisa)은 목에 상처를 가지고 있었는데 바다에 들어가며 상처는 아가미로 변해, 사랑하는 이와 자유로이 함께 할 수 있게 된다.
이 영화의 플롯과 맺음 시는 ‘사랑의 모양’ 부제와 잘 어울린다. 물은 정해진 모양 없이 공간을 채우고 이리저리 흐른다. 인간의 사랑 또한 그러한데, 어느 순간 찾아와 존재(공간)를 젖게 하고 마음을 숙연케 한다(사방을 채운 신비를 느꼈기 때문에 이전의 좁은 마음에서 벗어난다는 걸 의미).
이 책을 아무 배경지식 없이 읽으면 “연하 유부남과 사랑에 빠진 아줌마의 독백이 왜 이렇게 길고 긴 걸까?”라고 생각하게 된다. 혹은 도덕적 관점에서 도무지 작품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마음이 들 수도 있다. 둘 다 작품의 주안점이 되지 못한다. 이때 <셰이프 오브 워터>를 생각해보자.
아니 에르노 작가는 물에 빠져서 호흡이 가빠지는 것처럼, 사랑에 젖어가는 자신을 표현하고 있다. 책의 초입의 이인감(異人感)에 대한 부분이다.
작년 9월 이후로 나는 한 남자를 기다리는 일, 그 사람이 전화를 걸어주거나 내 집에 와주기를 바라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나는 슈퍼마켓에 가고, 영화를 보고, 세탁소에 옷을 맡기러 가고, 책을 읽고 원고를 손보기도 하면서 전과 다름없이 생활했다. 그러나 오랫동안 몸에 밴 습관이 아니었다면, 그리고 끔찍스럽게 노력하지 않았다면, 이런 일상마저 내게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특히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때면 내가 완전히 넋을 잃고 사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말이나 문장, 웃음조차도 내 생각이나 의지와는 무관하게 내 입 속에서 저절로 생겨나는 듯했다. 게다가 나는 내가 한 행동, 내가 본 영화, 내가 만난 사람들을 또렷이 기억해낼 수가 없었다. 나의 모든 행동이 자연스럽지가 않았다. 내 의지나 욕망, 그리고 지적 능력이 개입되어 있는 행동(예측하고, 찬성하고 반대하고, 결과를 짐작하는)은 오로지 그 남자와 관련된 것뿐이었다.
의지와 욕망, 지성으로 선택한 것은 오로지 이 남자의 존재에만 결부된다. 눈에 사랑이 드리워져(Your presence fills my eyes with your love), 나는 내가 아닌 것 같고, 생활은 마비될 지경이다.
그런데 이 어마어마한 감정을, 작가 스스로가 “평평한 글쓰기ecriture plate”라고 부르는 문체로 표현했다는게 이색적이다.
현재의 감각(혹은 이념)에 충실하지 않으면 잡념이 생기고 생활에 감동이 없어진다. 바쁜 수험생이나 직장인의 무미건조한 표정에서 그걸 읽을 수 있다. 반면 아니 에르노는 모든 존재를 기울여 사랑하는 자신의 감각(전혀 무미건조하지 않은 이데아)을 무미건조한 문체(형식)로 내보임으로써 역설적 효과를 낸다.
책의 말미에서 그녀는 연인과의 사랑을 매개로 생긴 결과물을 이야기 한다.
그 사람이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인지 아닌지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리고 지금은 그 모든 일들이 다른 여자가 겪은 일인 것처럼 생소하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 사람 덕분에 나는 남들과 나를 구분시켜주는 어떤 한계 가까이에, 어쩌면 한계를 뛰어넘는 곳까지 접근할 수 있었다.
나는 내 온몸으로 남들과는 다르게 시간을 헤아리며 살았다.
나는 한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해 얼마만큼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지도 알게 되었다. 숭고하고 치명적이기까지 한 욕망, 위엄 따위는 없는 부재, 다른 사람들이 그랬다면 무분별하다고 생각했을 신념과 행동, 나는 이 모든 것을 스스럼없이 행했다. 그 사람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나를 세상과 더욱 굳게 맺어주었다.
그 사람은 “당신, 나에 대해 책을 쓰진 않겠지” 하고 말했었다. 나는 그 사람에 대한 책도, 나에 대한 책도 쓰지 않았다. 단지 그 사람의 존재 그 자체로 인해 내게로 온 단어들을 글로 표현했을 뿐이다. 그 사람은 이것을 읽지 않을 것이며, 또 그 사람이 읽으라고 이 글을 쓴 것도 아니다. 이것은 그 사람이 내게 준 어떤 것을 드러내 보인 것일 뿐이다.
초입에 느꼈던 이인감이 재현되고 있다. 남자를 만나고 떠나보낸 일을 남이 한 경험처럼 느낀다. 스스로를 잊을 만큼 사랑해서 시간도 다르게 느껴졌다. 그리스어 어원의 카이로스(kairos)는 개인의 체험에 따라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는 시간을 뜻한다. 첫 사랑과 입맞춤 하는 때 같은 최고 최상의 순간(the supreme moment)에는 시간이 아득히 멈춘 것 같은데, 그런 카이로스를 내내 산것 같다.
‘그 사람의 존재로 내게로 온 단어들을 글로 표현’했다는, 공간을 채우는 물처럼 사랑이 마음을 채웠고, 그게 언어의 형태를 띈 작품이 되어 외부로 흘러갔다는 걸 의미한다.
한 사람을 사랑함으로써 자신이 변해가는 모습을 순수히 드러낸 작가님에게 경의를 표하고 싶고, 노벨상 수상도 기쁘다.
일하다 보면 아기 얼굴을 가까이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다. 아기도 빤히 이쪽을 보는데, 까맣고 하얀 눈동자 색의 대비도, 그걸 가만히 움직이는 모습도 신비하게 느껴진다. 아기는 두 팔을 벌려 양육자에게 안기려 하는데 그럼으로써 체온을 유지하고 배도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그 추구가 계속 거부될 때는 괴로워지고, 표정도 순진무구함을 잃게 될 것이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유아기의 체험이 평생토록 이어지는 인격에 영향을 준다고 하는데 아기를 보면 잘 수긍 된다.
책의 주인공 다자키 쓰쿠루는 색채를 뜻하는 글자가 없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투명한 거고, 아기와 같이 비고 순수한 상태로 시작한다. 책 제목의 ‘순례’는 그가 정신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떠난 여행을 뜻하고, 그 과정에서 16년전 절교 당한 후 한 번도 만나지 못했던 친구들을 찾는다. 그 모든 단계가 정신의 치유를 향하는데, 정신분석학으로 풀어보면 재미가 있다.
에스는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을 정립하며 사용한 용어이다. 본능 에너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렬한 성적 충동(리비도; libido) 뿐 아니라 공격성(힘이 자신을 향하면 죽음의 충동; Thanatos이 되어 스스로를 죽이고, 타인을 향하면 살인이 됨)을 포함한다.
다자키 쓰쿠루는 연상의 여자친구 기모토 사라의 제안으로 여정을 시작하였다. 그녀는 남자친구의 내면 깊은 곳에 계속 피를 흘리고 있는 상처가 있음을 알아차렸었다. 출혈의 원인이 된 사건의 친구들을 다시 만나고, 그걸 아물게 해야만, 사랑이 ‘자신을 잃어버릴 정도로 강렬하게 원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온전한 사랑을 이루는 성장기를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는 자신만의 스타일로 썼다. 대표적 성장소설인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과 비교해보면 차이가 잘 나타난다. <데미안>은 아이가 성인이 되는 기승전결의 스토리라인이 있고, 논리적으로 작가가 무엇을 말하려는지 이해하기 쉽다. 하지만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는 논리적 필연성이 없고 개연성도 없는 사건이 죽 이어져서 혼란스럽다.
그 이유는 소설의 플롯(plot)이 ‘논리’가 아닌 깊은 정신 에너지인 ‘에스’를 중심으로 꿈처럼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들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각기 적청백흑(赤靑白黑)의 색을 뜻하는 친구들 외에도 색채를 가진 인물이 두 명 더 있다. 회색(灰)의 하이다 후미아키와 녹색(綠)의 미도리카와이다. 회색은 흑색과 백색을 섞으면 나타나는 색이다. 다자키 쓰쿠루의 반복되는 꿈에서 구로노 에리(黑)와 시라네 유즈키(白)는 둘이 같이 나체로 주인공과 동침한다. 남자의 막장 판타지를 표현한건가 생각할 수도 있지만, 에스 즉 리비도가 발현된 모습으로 이해하면 된다. 꿈은 도덕의 억눌림 없는, 가장 큰 에너지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다자키 쓰쿠루는 여성의 이상형으로 외향적이고 밝은 구로(黑)와 내향적이고 신비로운 시로(白)의 상을 같이 품고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대표작 <상실의 시대>에도 성격이 반대인 두 여자 ‘미도리’와 ‘나오코’가 등장하는데, 미도리는 구로에, 나오코는 시로에 대응한다.
현실의 사랑에서 한 남자가 두 여자를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같이 품을 수는 없으므로 두 상(像)을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역할로 연하의 동성(同性) 친구 하이다 후미아키가 설정된 걸로 보인다. 그는 주인공의 꿈 마지막에서 구강성교로 사정을 받아주는데, 정신분석학적으로 보면 리비도가 합치와 성숙의 에너지로 쓰인 것이다. 흑과 백이 섞여 회색이 되고, 이제 새로운 여인 기모토 사라를 만날 바탕이 마련되었다.
미도리카와는 하이다 후미아키의 아버지가 과거에 만났던 사람이다. 전직 피아니스트인 그는 외딴 산장에 죽기 위해 찾아왔다. 그가 하이다의 아버지와 나눈 대화를 살펴보자.
“그거하곤 다른 이야기가 되겠지만, 사실 난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어. 대충 앞으로 한 달 정도 남았지.”
…
“그러면 미도리카와 씨는 앞으로 한 달밖에 남지 않았다는 걸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어떤 사람한테 그런 말을 들었으니까. 네 생명은 앞으로 두 달로 정해졌다고. 그게 한달 전이었거든.”
“그런 소리를 도대체 누가 했습니까?”
“의사도 아니고 점쟁이도 아냐. 아주 평범한 사람이야. 단, 그 시점에서 그는 죽어 가고 있었어.”
우울증을 앓는 사람에서 에스는 파괴적 에너지로 자신을 해치려 한다. 수치심과 자기혐오의 결과인 경우가 많은데, 미도리카와에게는 특이하게도 무감동증(Anhedonia)이 원인이 되었다. 그의 상징 색채인 녹색은 자연 그대로인 해탈 상태를 의미하는데, 깨달았기 때문에 삶과 죽음의 경계가 의미 없어져버린 것이다. 불교에서 즉신불(卽身佛)이 되는 것과 비슷하다.
죽음의 필연적 이유를 알려주는 악마(평범한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아마 도인道人 같은 사람일 것이다.)를 만난 그는 그 이유를 다른 사람에게 전해주고 자기는 살 수도 있었지만, 그냥 조용히 죽는 길을 택한다. 마지막 남아 있는 사랑으로 하이다의 아버지에게 아래와 같은 충고를 해준다. 이데아의 극한이 죽음을 부를 수 있다는 걸 깨달은 사람이 하는 작별인사이다.
문득 하이다는 좁은 방 안에서 미도리카와와 둘이 마주 앉은 것 자체가 갑작스럽게, 참 이상하게도, 실제로 있을 수 없는,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현기증 비슷한 느낌이 들었다. 움직이지 않는 공기 속에 미세한 죽음의 냄새가 풍기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살이 천천히 썩어 가는 냄새. 그러나 단순한 착각일 것이다. 아직 여기서 아무도 죽지 않았다.
“자네는 머지않아 도쿄의 대학 생활로 돌아갈 거야.” 미도리카와는 조용한 목소리로 고했다. “그리고 현실적인 삶으로 돌아갈 거야. 견실하게 그 삶을 살아야 해. 아무리 밋밋하고 평범하더라도 삶에는 살 만한 가치가 있지. 그건 내가 보장하지. 아이러니나 역설 같은 건 빼고 하는 말이야. 다만 나에게는 그 가치라는 게 좀 부담스러웠을 뿐이야. 그 놈을 제대로 짊어지고 나아갈 수가 없어. 아마 나면서부터 거기에 맞지 않는 것 같아. 그래서 죽어 가는 고양이처럼 조용하고 어두운 곳에 숨어들어 그때가 오기만을 묵묵히 기다리는 거야. 그것도 나름대로 나쁘진 않아. 그러나 자네는 달라. 자네는 그놈을 짊어지고 나아갈 수 있어. 논리의 실을 활용하여 살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자기 몸에 잘 맞게 바느질로 붙여 가는 거야.”
책에는 여자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경탄이 자주 나온다. 도자기 같이 하얀 시라네 유즈키의 다리, 민트 그린 원피스를 입고 빛나는 기모토 사라, 끝이 살짝 올라가서 예쁜 구로노 에리의 코 등등.
작가가 외모지상주의자여서 그런 건 아니고, 리비도의 흐름을 잘 포착해서 문예로 바꾸는 능력이 출중해서 그렇다고 느낀다. 에스(리비도)는 주의(主義)와 상관없이 가장 강렬한 자극에 들러붙는다.
반대로 시들어진 외모에 대한 안타까움도 있다. 작가는 아름다움을 ‘외형’으로 파악한 것이 아니라, 그 안에 깃든 정신으로부터 나오는 ‘에너지’나 ‘기운’으로 표현한다. 성폭행과 유산으로 완전히 바뀌었던 시로에 대한, 그리고 기모토 사라의 옛 사립여고 동창생에 대한 묘사가 다 그렇다.
“…중요한 건 시로는 그때 벌써 생명력이 가져다주는 자연스러운 광채를 잃어버렸다는 거야. 그 애가 성격적으로는 내향적인 타입이었지만 중심에는 본인의 뜻과는 관계없이 활발히 움직이는 뭔가가 있었어. 그 빛과 열기가 여기저기 틈을 찾아서 마구 바깥으로 새어 나왔지.
…
그렇지만 내가 마지막으로 만났을 때 그런 건 이미 사라지고 없었어. 마치 누군가가 뒤로 돌아 들어가서 플러그를 뽑아 버린 것처럼. 예전에 그 애를 반짝반짝 빛나게 하고 싱싱한 물기를 머금게 했던 특유의 겉모습이 그땐 오히려 애처롭게 보였던 거야. 나이 문제가 아니아. 나이를 먹어서 그렇게 된 게 아니라고. 시로가 누군가에게 목을 졸려 죽었다는 말을 들었을 때, 난 정말로 안타까웠고 진심으로 불쌍했어. 어떤 사정이 있었든 그런 식으로 죽기를 바라지 않았어. 그렇지만 동시에 이런 느낌이 드는 것도 어쩔 수 없었어. 그 애는 육체적으로 살해되기 전에 어떤 의미에서 생명을 빼앗긴 상태였다고.”
“경우는 조금 다르지만, 그 이야기는 내 고등학교 반 친구 생각이 나게 해. 미인이고 날씬하고 집도 부자고 외국에 살다가 귀국했는데, 영어도 프랑스어도 잘하고 성적도 최상이었어. 뭘 해도 사람들 눈을 끌었어. 친구들에게 찬양받고 후배들에게는 동경의 대상이었어. 사립 여고라서 그런게 얼마나 심했는지 몰라.”
쓰쿠루는 고개를 끄덕였다.
“세이신 여대에 들어가서 중간에 2년, 프랑스 유학을 갔어. 귀국해서 2년 정도 지나 우연히 만날 기회가 있었는데, 오랜만에 그 애 얼굴을 보고 난 할 말을 잃었어. 뭐라고 하면 좋을까, 색채가 흐려졌다고 할까. 강렬한 햇살 아래 오랫동안 드러나 있다 보니 색이 전부 바래 버린 것처럼. 겉모습은 옛날이나 다름없었어. 여전히 미인이고 날씬하고…… 다만 예전보다 흐려 보였던 거야. 나도 모르게 텔레비전 리모컨이라도 들고 색깔의 농도를 몇 단계 올려 놓고 싶을 정도로. 정말 기묘한 경험이었어. 사람이 몇 년 만에 이 정도로 눈에 띄게 흐려질 수 있다니.”
그녀는 식사를 마치고 디저트 메뉴가 나오기를 기다렸다.
“나 그 애랑 아주 친한 사이는 아니었지만 둘 모두와 친한 친구가 있어서 그 이후에도 가끔 어떤 자리에서 만나곤 했어. 얼굴을 마주할 때마다 그 애, 색깔이 점점 더 흐려진다는 걸 느꼈어. 그러다 어느 시점부터는 누구의 눈에도 특별한 미인이 아니었고, 특별히 매력적이지도 않았어. 머리도 많이 나빠진 거 같았고 하는 이야기도 지루하고, 생각하는 것도 평범하기 짝이 없는 거야. 스물일곱에 결혼했는데, 남편은 관청의 엘리트로 척 보기에도 얄팍하고 재미없는 남자였어. 그런데 본인은 더는 미인도 아니고 매력적이지도 않고 사람들 눈을 끌지도 못한다는 사실을 이해 못 하고 옛날처럼 여왕으로 행동하는 거야. 그 모습을 곁에서 지켜보기가 정말 답답하고 괴로웠어.”
정신에너지(Es)의 상실이 얼굴의 광채까지 지워 버렸다. 이런 내면의 에너지에 대한 표현을 같은 성장소설 <데미안>에서도 찾을 수 있다.
난 진정, 내 안에서 솟아 나오려는 것.
그것을 살아 보려 했다.
왜 그것이 그토록 어려웠을까.
얼마나 신비한 힘을 두 작가는 표현했던가. 에스(Es)는 하이다 후미아키를 선의의 인도자가 되게 했고, 미도리카와와 시로에게는 죽음의 문을 열어 주었다. 다자키 쓰쿠루와 기모토 사라에게는 자신을 잃어버릴 정도로 강한 사랑으로 나타날 것이다.
‘긁어 부스럼 만든다’는 속담이 있는데 표피낭종(Epidermoid Cyst)이 바로 그런 경우이다. 작은 뾰루지 같은 걸 손가락으로 만지다 커져서 생긴다. 얼굴이나 목, 등 부위 피부에 동그랗게 솟아올라 있는데, 꼭대기가 까맣고 움푹 들어간 구조라 다른 피부병과 구분이 된다.
사진 출처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Schematic-diagram-of-cyst-excision_fig2_260132237
피부 아래에 단백질 찌꺼기 성분이 찬 주머니가 있는데, 이걸 없애기 위해 수술용 칼(Scalpel)로 절개를 할 필요는 없다. 그렇게 하면 흉터가 필수적으로 남기 때문이다.
상기 사진처럼 레이저로 표면에 구멍을 내고, 농을 짜낸 후, 껍데기를 꺼내면 치료가 끝난다. 농을 안 짜고 주머니를 꺼내려면 작은 구멍으로 나올 수가 없기 때문에 배액을 먼저 한다. 커다란 농 덩이가 느타리버섯 모양으로 솟는데 그 크기를 보고 놀라시는 경우도 많다.
쇄골 뒷편, 등의 상부에 발생한 표피낭종에 구멍을 뚫고 최대한 농을 짜낸 상태.
국소마취 주사로 진행할 수 있고, 피부과 일반외과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주로 하는 시술이다. 국민건강보험의 종기 배액 수가를 적용받으면, 의사 진료비 포함 2만원 이하의 금액에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시술 동영상을 올려 두었다.
2021년 6월 세계 최초로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 치료제가 미국 FDA에서 승인 되었다. 진료실에서 이 소식을 전하면 환자분들이나 보호자분들은 지금까지 복용해온 아리셉트나 에빅사 혹은 뇌영양제 글리아티린은 무슨 약이냐라고 되물어 보신다.
기존의 약제들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으로 되어 있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을 없애는 원인 치료제가 아니라, 치매 질환으로 인한 결과인 기억력, 인지기능 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말하자면 원인을 없애지 못하지만 결과는 수습해주는 약이다.
치매 아밀로이드 단백 이론을 설명하는 사진. 심각한 단계의 치매(Severe Alzheimer’s)에 도달하면 뇌조직의 위축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가장 질문을 많이 받는 글리아티린 뇌영양제는 그야말로 뇌신경에 영양분을 주는 것으로,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건망증 완화 효과가 확인된 몇몇 연구만 있을 뿐 근본 치료제가 아니다.
신약 아두카누맙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없애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치매 치료에 획기적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미국 FDA 승인 과정에서 3명의 전문의원이 반발하여 사퇴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Aduhelm은 아두카누맙(Aducanumab) 성분 약의 상품명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었다. 베타 아밀로이드 가설 논문에 대한 충격적인 조작 스캔들이 터져 신약의 효과에 더욱 의문이 생기고 있다.
미국의 유수 대학인 밴더빌트대 의과대학 교수인 매튜 슈래그(Matthew Schrag)는 아두카누맙과 같은 계열의 신약 후보물질의 분석을 의뢰받아 진행하는 도중에, 2006년 미국 미네소타대학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의 조작 가능성을 밝혀냈다. 이 논문은 인용 건수가 2,200회 이상인 저명 연구였기 때문에 파장이 커졌다.
https://pubmed.ncbi.nlm.nih.gov/16541076/
치매 치료제 개발의 근거 논문이 가짜여서 이제까지의 연구가 무용하게 될 수 있다는 내용
현시점에서 가장 믿을 만하고 전반적 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되는 치매 예방법은 ‘운동’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세계적으로 인증된 연구 논문들을 널려있다. 먼저 우리나라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2021년 미국의사협회지(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iation)에도 수록된 연세대 세브란스, 분당 차병원, 인제 백병원 교수님들을 저자로 한 논문이 있다.
65세 이상 62,286명을 대상으로 국민건강 보험의 건강검진 기록을 참고해서 치매 발생 패턴을 밝혀냈다. 결론은 노인 인구에 있어서 육체 활동을 많이 하는 것, 그리고 굳이 격렬한 운동이 아니어도 약한 운동(LPA; light-intensity physical activity)을 조금이라도 하는게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Harvard Health Publishing에도 수록되었는데, 연구 대상자 수가 6만명 이상의 대규모라는 것 외에도 연구 설계의 우수성이 전문가 저자에게 인정 받은 것이다.
Harvard Health Publishing에 수록된 운동의 치매 예방 관련 국내 논문
세계 최고의 의학 연구지로 인정받는 NEJM(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실린 다른 치매 예방 논문을 보겠다. 운동을 포함한 레저활동(Leisure Activities)과 치매 발생의 연관관계를 연구했다.
488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무려 21년 동안 데이터를 수집했다. 그랬더니 결과는 책 읽기, 보드게임, 악기 연주, 춤 같은 활동이 치매 위험을 줄여준다는 것이었다. 이런 레저 활동은 치매의 가장 많은 원인인 알츠하이머병 뿐 아니라, 두번째로 많은 원인인 혈관성 치매의 발생 위험까지 줄여주었다.
운동을 포함한 레저 활동은 알츠하이머 치매 뿐 아니라 혈관성 치매의 위험성도 줄여줌
진료실에 있으면 뇌에 좋다고 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다. 광고처럼 효과가 있다면 좋겠지만 대부분은 그냥 순수한 영양제이다(가성비가 좋지 않다). 질병의 근본 치료가 아니므로, 가장 검증된 예방법인 매일의 운동을 권하고 싶다. 운동도 이왕이면 사람들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노년기의 고립은 그 자체로 치매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아래 사진의 뉴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