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in Category: 의학

등에 난 큰 종기 치료 – 포도상구균과 피부 마찰로 저절로 생김, 절개 배농 시술과 항생제로 완치

 
사람의 대장 안에 대장균이 살듯이 사람의 피부에는 포도상구균이라는 미생물이 번식하고 있다. 포도상구균도 대장균처럼 평소에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다가, 피부 마찰이나 상처가 심해지면 표면 아래로 침투해 문제를 일으킨다.
 
그렇게 형성된 작은 종기는 항생제로 곧잘 완치되지만, 슈퍼박테리아(여러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포도상구균은 환자를 사망하게 할 정도로 치명적이다.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슈퍼박테리아로 인한 사망자 수는 의료체계가 발전된 미국과 유럽에서도 매년 수 만명이 넘는다.


 

종기를 집에서 짜다가 악화되어 병원으로 오는 경우도 많은데, 아래 사진의 뾰루지(Pimple) 정도 상태라면 집에서 금속 압출기로 치료해도 무방하지만, 큰 종기(Carbuncle)로 발전했을 때는 항생제 치료와 더불어 절개 배농 시술을 받아야 깔끔히 빨리 낫는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이 고령, 만성질환자 중에 많이 발생하듯이, 당뇨병 같은 기저 질환이 있는 중장년 환자 분들은 작은 피부 손상에도 종기가 더 잘 생긴다. 격투기나 미식축구 선수처럼 격렬한 신체 접촉이 있는 경우, 혹은 알레르기 습진 체질인 경우, 암이나 결핵 등으로 전반적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에도 종기가 잘 발생할 수 있다.
 
큰 종기는 피부를 절개해서 세균과 죽은 조직이 범벅되있는 농을 배출 시키고 항생제를 써야 치료가 된다. 먼저 마취를 하고, 수술용 메스로 종기를 절개하고, 압출해서 농을 빼낸다. 그리고 바로 피부 봉합을 하지 않고 3~4일 정도 항생제를 투여하며 경과를 관찰한다.
 
아래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등 부위의 큰 종기 절개 배농 시술 장면을 올려 두었다.
 


 

덜렁거리는 큰 쥐젖 제거 – 피부 레이저 이용 줄기만 태워서 덩이 떼내기

 

목이나 겨드랑이, 옆구리 피부에 주로 생기는 쥐젖은 정상 피부 조직이 더 자라버린 것이다. 피부 마찰이 반복되고, 옷에 자꾸 쓸리는 부위에 잘 생기게 된다. 주로 중년 이후 나이에 발생하고, 비만으로 살이 접혀지면 더 생긴다.
 


 

상기 좌측 사진에서 보이듯 쥐젖은 그냥 멀쩡한 살이 더 자라버린 거라, 겉 표면이 부드러운 편이다. 반면 우측의 사마귀는 바이러스 침투로 생긴 피부 병변이라 울퉁불퉁하고 흉측해 보인다.
 


 

상기 좌측 사진처럼 까맣게 색소 침착이 되어 있는 쥐젖도 있는데, 그런 경우 피부암인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 우측 사진)과도 헷갈릴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악성 흑색종은 피부 세포가 악성 변화를 한 거라 겉보기에 모양이나 색상이 균일하지 않고 비대칭적이다. 출혈이 있는 경우도 있다. 한 마디로 무섭게 생겼다…
 


 
작은 쥐젖은 집에서 미용 가위로 아픔을 참으며 자가 절제 하기도 하지만… 역시 병의원에서 크림으로 피부 마취 후 CO2 레이저 기계를 이용해 없애면 통증도 거의 없이 치료받을 수 있다.
 
쥐젖 제거는 미용 목적이라 국민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비급여 시술이다. 그래서 가격도 병원마다 제각각인데, 예전에는 쥐젖 한 개 제거에 1~2만원이 넘어서, 작은 것들까지 다 빼면 수십만원의 비용이 들곤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미끼 상품 격으로 되어 치료비가 저렴해지고 있다.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쥐젖 제거 시술 동영상을 올려 두었다. 큰 쥐젖 전체를 레이저로 태우지 않고, 줄기 부분만 핀포인트로 태우면, 흉터를 최소화하며 제거할 수 있다.
 

 

발바닥 굳은살 티눈 – 걸을 때마다 아플 때, 피 안 나게 레이저로 깨끗히 제거, 국민건강보험 가능

 

발바닥에 생겨서 통증이나 불편감을 일으키는 피부 질환의 대표는 <티눈>, <굳은살>, <사마귀> 이다. 이 중 티눈과 굳은살은 동일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불편한 신발을 신어서 압력이 발바닥 한 곳으로 모이면 피부 각질층이 두꺼워져서 생긴다.
 


 

상기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멀쩡한 사람을 넘어지게 만드는 높은 신발이 티눈 굳은살의 주범이다. 이렇게 <티눈>과 <굳은살>은 동일한 원인으로 발생하지만, 그 차이는 두꺼워진 피부 각질이 신경을 눌러서 통증을 유발하면 <티눈=Corn>이고, 그냥 균일하게 두꺼워져서 통증이 없으면 <굳은살=Callus>이다(아래 사진 참조).
 


 


 


 

반면 <사마귀=Wart>는 모양도 피부에 벌집 생긴 것처럼 지저분하고(상기 사진 참조), 원인도 압력이 아닌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이다. 발바닥 피부가 마찰로 약해지면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해지고, 그런 곳에 HPV가 옮아서 발생한다. 면역력이 약하고 위생관리가 안 되면 더욱 번질 수 있다.
 
원인이 각기 다른 <티눈, 굳은살> <사마귀>이지만, 모두 피부 레이저 기계로 정밀하게 태우면 치료가 된다는 건 공통점이다.
 
게다가 <티눈>은 국민건강보험 적용이 되어서 평일날 의원급에서 전기소작(레이저)으로 치료 받으면 총 지불 비용이 1만 5천원 내외가 된다. 다만 미용상으로만 문제되는 티눈을 제거하는건 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다. 발가락, 발바닥에 생겨서 보행에 지장을 주거나 신발을 신는데 통증을 주는 경우에만 시술이 급여 처리된다(고시 제2000-73호 2000.12.30).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발가락 굳은살>, <발바닥 티눈> 제거 시술 장면을 올려두었다. 레이저로 열을 가해서 녹인 후, 시술도구(scissor)를 사용해서 남은 각질 부위를 잘라내면, 최소한의 조직 손상과 출혈로 깨끗히 제거할 수 있다.
 


 

사타구니에 기어다니는 아주 작은 벌레들 – 옴, 사면발이, 성 접촉으로 감염 가능, 치료 방법 설명

 
사면발이(=사면발니=Crab Louse)는 사람의 체모에 기생하는 아주 작은 벌레이다. 크기가 1.3~2mm 정도여서 자세히 보면 천천히 움직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체 이곳저곳에 털이 많이 있지만, 사면발이는 주로 사타구니 털 속에 산다…
 
그래서 사람들이 흔히 성병으로 생각하지만, 꼭 그런건 아니고, 공용 침구나 유니폼을 사용하는 호스텔이나 찜질방 같은 곳에서도 전염될 수 있다. 특히나 위생 관리가 안 되는 해외 여행지 단기 숙소에서 많이 옮겨 온다.
 


 

상기 사진을 보면, 손으로 털을 잡고 매달려 있는 사면발이의 모습이 보인다. 털에 붙어 있는 타원형의 작은 물체는 사면발이의 알이다.
 
성병일 가능성이 높다면 사면발이 뿐 아니라 다른 성병(임질, 클라미디아가 가장 흔하다)에 대한 검사도 같이 받아야 한다. 비뇨기과 이외에도 동네 내과/가정의학과에서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기본 성병 검사를 받을 수 있다.
http://castlekafka.com/성병-필수-검사-종류-국민건강보험-적용-가격/
 
성접촉이 없었고, 의심가는 더러운 공용 장소 이용력이 있다면, 성병 검사가 아닌 그냥 사면발이 치료만 받으면 된다. 예전에는 ‘린단’ 성분의 크림이 사용되었지만, 문제 성분이 발견되어 시장에서 퇴출되었다.
 

오염 물질 때문에 시장에서 퇴출된 옴 사면발이 치료제 린단로션을 설명한 기사


 

그래서 현재는 더 안전한 퍼메트린 성분의 전문의약품 크림이 처방되고 있다. 대웅제약 <오메크린크림>, 신신제약 <신신퍼메트린크림>이 대표 제품들이다. 전문의약품이어서 약국에서 바로 살 수 없고, 의사 처방전이 필요하다. 동네 내과/피부과/가정의학과에서 쉽게 처방된다.
 
이 크림을 건조한 피부 상태의 몸에 바르고 12시간 있으면 완치가 된다. 사면발이 벌레가 좋아하는 곳인 사타구니, 엉덩이 사이, 겨드랑이 등의 굴곡 부위에는 더욱 세심하게 발라 주어야 한다(몸이 겹치는 부위는 체온 유지가 잘 되어서 옴 사면발이 벌레가 더 잘 산다).
 

(좌) 사면발이 알  (우) 사면발이 성체 벌레


 

​사타구니에 작은 벌레가 움직이는 걸 보고 기겁을 해서 에프킬라를 그곳에 뿌리다 오시는 분도 계셨다. 그래도 치료가 안되는 이유는, 사면발이는 두꺼운 캡슐에 싸인 알을 털에 번데기처럼 붙여 놓으면서 번식하기 때문이다. 에프킬라로 작은 벌레는 쉽게 죽이지만, 알은 쉽게 죽지 않아서 완치가 안 된다(상기 사진 참조).
 

독감 백신 무료 접종 9/25일 만12세 이하 재개 – 외산 독감 백신도 지원됨

 
이번 가을 국가 무료 백신 접종 사업은 코로나19 사태의 혼란함처럼 혼란하게 진행되고 있다. 호흡기 질환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정부는 무료 접종 대상을 대폭 늘렸었다.
 
어린이의 경우 작년에는 초등 6학년 이하가 대상이었지만, 올해는 고3 이하까지이다. 어르신의 경우 작년에는 만 65세 이하 분들이 대상이었지만 올해는 만 62세 이하 분들이다. 아래의 정부 홍보물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문제는 9/22일 터졌는데, 소아청소년 만 13세에서 만 18세 대상 정부 현물 제공 독감 백신들의 유통과정에서 문제가 발견된 것이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만 6개월에서 만 12세까지는 정부가 제공하는 현물 백신이 아닌, 의료기관 자체 구매의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어서 해당 물량은 안전했다.
 

 
​그래서 정부는 9/25일 금요일 오후부터 만 12세 이하 어린이 대상 국가 무료 독감 백신 사업을 재개 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렇지만 만 12세 이하 아이를 둔 일반 학부모님들의 반응은 보통 ‘정부 백신 못 믿겠다. 그냥 유료 백신 놔달라’ 였다.
 
일선 의원 의사로서 말씀 드릴 수 있는 건, 만 12세 이하 무료 독감 수급은 의원마다 다른 도매상 혹은 제약사 직거래를 이용하기 때문에, 정부 분량과 다른 유통망을 거쳤고, 그래서 문제 없이 안전하다는 것이다.
 
게다가 무료 접종 백신의 제조사도 개개 의원의 성향에 따라 다른 제품을 준비해 두었기 때문에, 백신 소비자인 만 12세 이하 소아의 부모님이 선호하는 백신(주로 GSK 사나 Sanofi 사 수입 제품들)을 접종하는 의원을 찾아가 맞을 수 있는 자유도 생겼다.
 
만 13세 ~ 만 18세 분량은 국가에서 정한 제조사의 백신이 현물로 공급되기 때문에 소비자 선택의 자유가 없다.
 

 
​만 12세 이하 정부 무료 접종 가능 백신 제품들은 상기 사진과 같다. 이들 중 국제 인증을 받아서 먼저 추천할 만한 4가 제품은 아래와 같다.

 
1. 플루아릭스테트라 (글락소스미스클라인; GSK)
▶ 4가 독감 백신으로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음 (2012년)
▶ WHO PQ에 비해 미국 FDA 승인을 받는 과정이 일반적으로 더 어렵기 때문에 의미가 있음.
 
2. 박씨그리프테트라 (사노피파스퇴르; Sanofi Pasteur)
▶ 4가 독감 백신으로는 처음으로 세계보건기구(WHO) 사전적격심사(PQ) 승인
▶ 동사의 4가 독감 백신 Fluzone Quadrivalent 미국 FDA 승인
 
3. 지씨플루쿼드리밸런트 (녹십자)
▶ 2016년 세계보건기구 WHO Prequalification 인증 획득
▶ WHO의 PQ를 받은 제품은 UN 산하기관인 UNICEF 등을 통해서 제3세계 어린이 접종 백신으로 공급 되기 때문에 믿을 만함
​ 
4. 스카이셀플루4가 (SK바이오사이언스)
▶ 2019년 세계보건기구 WHO Prequalification 인증 획득
▶ 유정란 배양 방식이 아닌 세포배양 방식
▶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조금 더 안심하고 접종 가능, 항생제 과민반응 기왕력이 있는 접종자에 대한 염려도 상대적으로 적음
​ 

공공의대 설립과 의사 숫자 늘리기에 대한 개원 의사의 의견 – 제 3의 길도 있음

 
우리나라는 공공보험인 국민건강보험의 가입률이 100%이면서, 정작 의료인 의사는 절대 다수가 민간 전문직 인력입니다.
 
​반면 영국의 공공의료체계인 NHS(National Health Service)에서는 의사들이 다 준공무원 입니다. NHS는 무상의료이고 서비스 접근성이 아주 좋지는 않지만, 영국 국민의 민간 의료보험 가입 비율이 10.5%(2015년 기준) 밖에 안될 정도로 국민 보건 서비스가 긴 세월 자리를 잘 잡아왔습니다.
 
반면 미국은 최근에야 오바마케어라는 전국민 건강보험을 표방한 정책이 나왔었고, 그나마도 트럼프 행정부로 바뀌면서 좌초할 정도로 국가 주도 의료 서비스의 영향력이 약합니다. 하지만 자유 기업 정신 덕분에 제약사의 신약 개발이나 병원들의 의료 서비스 전달체계 혁신에선 앞서 나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국가의료 체계는 미국과 영국의 중간으로 가야한다고 할 수 있고, 현실적인 정책을 입안하고 시범 사업을 벌여 현실화 시켜야만 현재 진행중인 공공의료 정책에 대한 논란과 의사 파업 여진을 잠재울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사태를 2000년의 의약분업 의사파업 때와 비교해보고 향후 우리나라의 공공의료 정책 개선점을 논해 보았습니다. 아래 링크의 유튜브 영상을 참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