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와 FileZilla 직관적인 파일 대량 전송, 웹 호스팅, 나스로 영화보기 – Synology NAS 초보자용 맞춤 설명 VIII

 
 
시놀로지 나스와 파일을 주고 받는 건 우선 DSM 파일스테이션으로 하고, SMB 서비스와 VPN 서버 설정 후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하면 컴퓨터 내부 파일 다루듯 편하게 된다.
 
그렇다면 또 다른 네트워크 파일 전송 프로토콜인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왜 필요한 건지 궁금할 수 있다. FTP를 쓰는 주된 이유는 대용량 파일의 대량 전송에 안정적이고, 특히 나스를 이용한 웹 호스팅에 필수적인 방법이어서이다.
 
또한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기기의 주요한 동영상 재생 앱이 FTP를 통한 연결을 지원하기 때문에, 나스에 저장해둔 수많은 영화를 보기에 좋다는 장점도 있다.
 
​ 


 

★ FTP 사용을 위한 DSM 설정과 공유기 포트포워딩

우선 시놀로지 나스의 DSM(DiskStation Manager)에서 FTP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 [제어판] – [파일 서비스]로 가서 상단 중앙의 FTP 탭을 클릭한다. 그리고 ‘FTP 서비스 활성화’를 체크한다. FTP의 포트 번호가 21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아래 사진).
​ 


​​ 

IP 주소(IP Address)는 네크워크 상의 컴퓨터 위치를 알려주고, 포트(Port)는 그 컴퓨터가 네트워크에서 어떤 서버 프로그램을 사용할지 정해준다. 21번 포트로 FTP 서비스를 사용하는 게 표준인데, 보안 상 이유로 다르게 지정할 수도 있다.
​​ 
DSM 설정을 마치면 나스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공유기의 포트포워딩(Port-Forwarding)을 해줘야 한다. 포트포워딩을 알아야 나스에서 VPN 서버를 운용할 수 있고, FTP 서비스도 마찬가지이다. 필자의 이전 글 3)과 4)에 개념과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 있으니 참조바란다.
​​ 
필자는 KT 홈허브 공유기를 쓰고 있어서 아래 사진과 같이 설정하였더니 FTP 서비스가 잘 연결되었다. 내부 외부 포트를 모두 21번으로 하고, 프로토콜은 TCP, 내부 IP 주소는 나스 DSM 바탕화면 우하단의 ‘시스템 상태’ 창에 적혀 있는 주소가 그것이니 옮겨 적어 주면 된다.
​​ 


 
​ 


 

★ 파일질라 – 오픈 소스 FTP 클라이언트

FTP 서비스의 서버 역할을 하는 나스와 나스의 게이트웨이(gateway)인 공유기 포트포워딩을 마쳤으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된다. 파일질라(FileZilla)는 가장 인기 있는 FTP Client이다. 오픈소스의 무료로 Windows나 Mac, Linux 버전이 모두 있다. 공식 사이트(https://filezilla-project.org)에서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 한다.
 
설치를 마치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로그인 화면이 뜨는데, 아래 사진 설명처럼 기입하고 ‘Quickconnect’ 버튼을 누르면 나스에 접속된다.
 


​ 

Host 칸에 외부 IP 대신 DSM 제어판 외부엑세스에서 만들 수 있는 DDNS를 ftp://xxxxxxx.synology.me 형식으로 입력해도 접속 가능하다.
 
FTPS나 SFTP 같은 보안 연결을 하지 않았으므로 아래와 같은 경고창이 뜨게 된다. 개인 사용에는 나스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 로그인으로도 문제가 없으므로 ‘OK’를 클릭하고 넘어간다.
 


 

파일질라에서 나스의 공유폴더로 들어가서 파일을 선택 후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컴퓨터의 파일을 드래그앤드롭 해서 나스로 옮겨 놓을 수도 있다. 맨 아래에 파일 전송 상태 창이 있어서 진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아래 사진). 파일 전송이 중간에 끓겨도 상태가 바로 확인되고, 전송을 다시 이어서 진행할 수도 있어 편하다.
 


​ 
​ 


 

★ FTP 연결로 나스에 저장된 영화 보기

모바일 기기에서 인기 있는 동영상 재생 앱인 nPlayer와 VLC Player 모두 FTP 연결을 지원한다. 나스에 좋아하는 영화 파일을 쌓아 두고 있으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언제든 편하게 감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접속 방법은 파일질라와 거의 동일하다. nPlayer 기준으로 하면 최하단 Network 탭을 누르고 들어가 좌측 상단 + 버튼 누르고 FTP 선택, 이후 나스 외부 IP, DSM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접속하면 된다.
 


 


​ 

머리가 안 돌아갈 때 드러누워서 폰이나 패드로 영화를 보니 좋았다. 나스에서 FTP를 이용하는 건 장점이 많으니 꼭 시도해볼 것을 추천드린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