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틀란 맵 SD 카드 업데이트 – 토요타 렉서스 혼다 중고차 매립 내비의 경우
차량 매립 혹은 거치형 내비 맵으로는 팅크웨어 아이나비, 맵퍼스 아틀란, 현대오토에버(구 만도맵앤소프트) 지니가 3대 메이저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지도 소프트웨어는 티맵이나 카카오 네이버지도 같은 스마트폰 앱에 비해 열세가 된 상황이다.
오토인사이트 ■ 2022년 자동차 기획조사 리포트 ⑪ 내비게이션 사용 현황 순정 내비는 장식용? 수입차 절반 이상 ‘스마트폰 보며 운전’
수입차 브랜드 가운데 렉서스가 순정 내비게이션 사용률이 50%로 가장 높았다. 렉서스의 ‘리모트 터치’는 덴소(Denso)사와 공동 개발의 조이스틱(Joystick) 형태의 인터페이스이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fotainment System)과 연동되어 핸들 리모컨을 쓸 수도 있다. 이 같은 이유로 렉서스의 순정 내비 사용률이 높은 것 같다. 필자도 폰 거치대 설치가 번거롭고, 에어컨 송풍구나 앞 유리창이 가려지는 것도 싫어서, 순정 내비를 업그레이드 해서 써보기로 했다.
필자의 중고차 지도는 <아틀란>이었는데 업데이트 방법은 비교적 간단했다. 1) 내비 지도 버전 확인 및 SD 카드 탈거, 2) 아틀란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차대번호로 제품인증, 3) PC에 SD 카드 연결 후 아틀란 업데이트 매니저 실행 순서로 진행하면 된다.
1. 내비 지도 버전 확인 및 SD 카드 탈거
지도가 얼마나 오래된 건지 먼저 확인을 한다. 아틀란 맵의 경우 차량 인포테인먼트 화면에서 내비게이션 > 아틀란 > 환경설정 > 버전정보 순으로 들어가면 된다.
2017년 2월 이후 한 번도 업데이트를 안 한걸 확인했다. 매립 내비의 기계 본체는 조수석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 위치해 있다(아래 사진 참조). 전면부의 작은 고무캡 손잡이를 당기면 SD 카드가 드러나고 카드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튀어 나온다.
2. 아틀란 홈페이지 회원가입과 차대번호로 제품인증
https://www.atlan.co.kr/ 사이트로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토요타, 렉서스, 혼다, 중한자동차, MAN Truck(만트럭)의 순정 아틀란 맵은 차대번호로 제품인증을 받는다. 차대번호는 차량의 운전자 좌석 측 앞유리창 하단에 적혀 있다(아래 사진 빨간 화살표). 차량등록증 서류에도 적혀 있으니 참조하자.
중고차의 경우 차대번호로 제품인증을 하면 이미 등록된 번호라고 뜬다(아래 사진). 이전 소유자 계정으로 제품이 등록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인증초기화를 신청하면 된다. 차대번호가 찍힌 사진 파일을 제품인증 창에 업로드하는 것인데 하루 만에 금방 통과되었다. 평일이라면 ‘아틀란’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실시간 인증을 받을 수도 있다.
3. PC에 SD 카드 연결 후 아틀란 업데이트 매니저 실행
PC에서 아틀란 홈페이지로 들어가 <아틀란 업데이트 매니저>를 다운로드 한다. 맥(mac)용 업데이트 프로그램은 아쉽지만 없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SD 카드에 지도가 업데이트 되는데 15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업데이트가 된 SD 카드를 도로 매립 내비 본체에 삽입하고 차량 시동을 켜면 자동으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계속 확인 버튼을 누르면서 진행하면 되고, 중간에 잠깐 차량 시동을 껐다 켜야하는 과정이 있는 것 외에 어려운 점은 없다(아래 사진).
마침내 전 과정이 완료되었다. SD 카드 삽입 후 차량에서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 되는데 까지 10분 정도가 소요된다.
목뒤 피부에 자라난 큰 덩이 – 연성섬유종(쥐젖) 제거, 국민건강보험 적용
목뒤 피부나 등, 허리에 커다랗게 자란 피부 덩이가 있을 수 있다. 병력을 들어보면 어릴 때부터 있었고, 브로콜리(broccoli) 모양으로 점점 크게 자라고, 살색보다 진하게 변색되는 경우가 많다.
큰 쥐젖을 마취 후 수술용 가위로 자르는 장면
이런 피부 병변을 연성섬유종(軟性纖維腫; fibroepithelial polyp) 혹은 쥐젖이라고 부른다. 정상 조직이 자라난 것이고, 전염병도 아니고 암(癌)으로 변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크기가 너무 크면 무심결에 끌어당겨져 통증이나 출혈, 상처감염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미리 조치를 취하는 게 낫다.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제거 시술 장면을 올려 두었다.
★ 주의해야할 감별 진환들
피부암의 경우도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환자분이 고령이고 흡연자인 경우 특히 자세한 시진(視診)과 병력청취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아래 사진의 병변들은 연성섬유종과 혼동될 수 있는 희귀한 피부암들이다.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융기피부섬유육종
Basal Cell Carcinoma 바닥세포암
상기의 종양들은 대학병원 피부과 조직검사를 요하는 악성 병변들이다. 그대로 CO2 레이저로 태워도 근본적 치료가 안 된다.
★ 피부양성종양에 적용되는 국민건강보험 수가
큰 피부 덩이를 제거하는 시술에도 건강보험이 적용될 수 있다. 단순한 미용의 목적을 넘어, 크기가 커서 생활의 불편을 초래할 정도이기 때문이다. ‘양성종양적출술’이라는 수가로 의원급에서 치료 받으면 2~3만원의 치료비가 나온다. 아래 언론 기사처럼 피부병변들에도 건강보험수가 적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니 잘 참고하자.
PC 맥 아이폰 기기에서 나스와 파일 주고받기, 공유폴더 설정, 쉬운 연결 QuickConnect – Synology NAS 초보자용 맞춤 설명 IV
시놀로지 나스에 운영체제 DSM을 설치하고, 저장소 관리자(Storage Manager)에서 Storage Pool 과 Volume 설정까지 마쳤다면 이제 공유폴더(Shared Folder)를 만들어야 한다.
Windows 운영체제에서 공유폴더라고 하면 같은 네트워크 연결의 다른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설정하고, 안해도 큰 불편은 없다. 하지만 나스(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 이므로 공유 폴더가 없으면 그냥 따로 떨어진 깡통이 된다.
1) DSM에서 공유폴더 생성 및 권한 설정, 2) QuickConnect 설정, 3) PC나 맥에서 웹브라우저, 아이폰/안드로이드폰에서는 DS file 앱을 통한 연결을 진행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내외부 네트워크의 PC 맥 아이폰 안드로이드폰에서 나스의 공유폴더에 접근해 자료를 업로드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1) DSM의 제어판에서 공유폴더 생성 및 권한 설정
PC나 맥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NAS의 IP 주소를 입력해서 DSM(DiskStation Manager)으로 이동한다. 기기의 IP를 모른다면 나스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에서 find.synology.com 웹주소로 들어가면 알아낼 수 있다.
DSM 로그인 후 제어판(Control Panel)의 좌측 메뉴 창에서 공유폴더(Shared Folder)를 클릭한다. 그리고 상단의 [Create]를 누르면 드롭다운 메뉴가 나오는데, [Create Shared Folder]를 눌러 들어간다(아래 사진 참조).
아래 사진처럼 Name 란에 적당한 폴더 이름을 입력하고, 이 공유폴더를 저장소의 어느 볼륨에 놓을 것인지도 정한다. 즉 공유폴더를 어느 물리적 하드드라이브에 놓을지 결정할 수 있다.
폴더를 암호화(encrypting)하지 않을 거라면 아래 사진의 단계는 [Skip]으로 넘어 뛴다.
데이터베이스 혹은 가상 컴퓨터를 호스팅하거나, CCTV 기록을 공유 폴더에 보관(시놀로지사의 Surveillance Station 앱 사용)하는 경우, data checksum(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고급 옵션)을 비활성화 시키고, 아니면 활성화 한다(아래 사진 참조).
아래 사진처럼 나온 공유폴더 생성의 설정을 확인 후 [Next]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공유폴더 권한 설정 창이 뜬다. admin 계정과 DSM 사용자 계정에만 [Read/Write] 권한을 부여하였다(아래 사진).
이로서 시놀로지 나스의 공유폴더 설정이 끝났다. 이제 나스와 멀리 떨어진 PC 맥 스마트기기에서 공유폴더에 간편히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2) 시놀로지 나스에 쉬운 연결, QuickConnect
나스로의 접속은 웹 브라우저에 나스의 IP 주소를 입력해서 할 수 있다. 하지만 IP 주소 숫자를 일일히 기억하기 어렵고, IP 주소 자체도 연결된 라우터만 바꾸어도 변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간편한 접속 ID를 사용하게는 게 낫다. 그게 QuickConnect 이다.
먼저 DSM의 제어판(Control Panel) > 외부 액세스(External Access) > QuickConnect 로 이동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보일 것이다.
[Enable QuickConnect] 체크박스를 클릭하고 ID를 적절히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된 ID는 http://QuickConnect.to/ 뒤에 입력해서 웹브라우저 주소로 쓰면 DSM으로 바로 연결이 된다(상기 사진 빨간 밑줄). 모바일기기에서는 DS file 같은 시놀로지사 전용 앱 로그인시 쓰게 된다.
3) 아이폰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DS file 앱으로 나스와 파일 주고 받기
PC나 Mac에서 나스와 파일을 주고 받는 기본 방법은 웹브라우저에 QuickConnect 주소를 입력해서 DSM으로 이동, File Station을 쓰는 것이다.
DSM의 바탕화면에 있는 File Station 아이콘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기존에 만들어 둔 공유폴더 목록이 보일 것이다(아래 사진).
컴퓨터의 파일을 File Station 창으로 드래그앤드롭(Drag and drop) 하면 아래 사진처럼 바로 복사가 진행된다. 우상단에는 업로드 상태 창도 보인다.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폰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는 시놀로지사 전용 앱인 DS file을 쓰는 게 편하다.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서 검색 후 설치한다.
아래 사진의 초록색 글씨 내용대로 QuickConnect ID, DSM 사용자 계정 이름,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를 각각 입력하고 로그인한다.
그러면 공유폴더 목록이 나타나고 마음대로 이동해서 파일들을 복사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좌) 음악 파일을 저장해둔 공유폴더들 (우) 나스에 저장된 MP3 파일을 바로 재생할 수 있고 다른 곳으로 보낼 수도 있음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 정부가 도와주는 고장난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버리기
카모마일 의원은 15년 이상 운영 되던 기존 의원의 빈자리에서 시작했다. 그래서 책상 가구부터 모두 중고였고, 새로 들여놓은 물품들도 네이버 중고나라에서 많이 구매했다.
대부분의 중고 거래는 성공적이었지만, 2가지 물품은 문제가 생겨 폐기할 수 밖에 없었는데, 중고 텔레비전과 중고 프린터였다.
LG PDP 50PY2DR
2005년 출시 즉 15년도 전에 출시된, 지금은 망한 PDP 방식의 평면 디스플레이 TV이다. 50인치의 거대한 화면과 스피커 성능에 반해 생각도 없이 샀다. 중고 가격은 아주 저렴했지만 승용차에 넣어 들고 오는게 기적일 정도로 본체가 컸다. 그리고 3~4년 사용 후 화면이 고장났다.
Fuji Xerox DocuPrint CM305
컬러프린터 겸 팩스 용도로 구매했다. 인쇄 글자가 자꾸 흐려져서 16만 5천원 들여 정품 드럼으로 교체도 했다. 하지만 프린터 기능도 팩스도 4~5년 후 다 망가져서 내다 버릴 수 밖에 없게 되었다.
★ 당근마켓이나 네이버 중고나라에 팔 수도 없는 고장난 TV 컴퓨터 프린터 수거 기관
아주 큰, 그냥 버릴 수도 없는 제품이 2개 생긴 후, 간혹 건물 밖에서 확성기로 들리는 “오래된 테레비 삽니다, 안 쓰는 세탁기 냉장고 피아노…” 소리에 집중을 했다. 하지만 운좋게 듣고 연락이 닿아도 이런 물건들은 가져갈 수 없다는 답변을 얻었다. 인터넷에서 검색한 다른 중고 가전 구매 업체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공익 목적의 정부 산하 기관이 있었다. 환경부와 지자체 공동 주관의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는 품목만 맞으면 고장난 제품도 수거해 준다.
상기 링크에 들어가서 <수거예약하기> 탭을 클릭 후 진행하면 된다. 서비스가 가능한 품목이 지정되어 있는데, 아래 사진을 참조하자.
사진 출처 https://15990903.or.kr/portal/cnts/selectContents.do?cntnts_id=A1000005
수거 전일에 기사님이 전화 연락을 주셨다. 건물의 어느 장소에 폐가전을 두면 언제 오셔서 가져가실 예정이라고 말씀 주셨고, 그대로 친절하게 해주셨다. 생활과 밀접한 이런 공공서비스가 있는지 모르고 있다가 큰 도움을 받았다.
초대형 발바닥 굳은살 제거 – 수술용 가위와 전기 드릴 사용
발바닥의 굳은살(Callus)은 계속되는 마찰과 압력으로 정상 조직이 각화된(orthokeratosis) 것이다. 신경이나 혈관 조직이 자라있지 않으므로 그냥 자르거나 다듬어서 치료할 수 있다. 굳은살이 아래 좌측 사진처럼 커질 수도 있는데, 이 정도 되면 집에서 치료하기는 어렵다. 혼자서 자르기도 힘들고, 소독이 잘 안 되서 상처 감염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좌) 발뒤꿈치의 큰 굳은살 (우) 발가락 상부의 티눈
굳은살은 우선 티눈(Corn)과 구별이 중요하다. 두 병변의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어서 그렇다. 티눈은 주로 발가락 상부 혹은 측면에 잘 생기고 표면 아래에 핵이 있기 때문에, 이걸 제거해야 통증의 원인이 사라진다.
(상) 티눈 조직 단면 그림이며 화살표는 티눈 핵을 가리킴 (하) 실제 발의 티눈 핵이 뽑힌 모습을 화살표가 가리키고 있음
반면 굳은살은 반복되는 압력으로 층층이 죽은 세포 단백질로 만들어진다. 핵이 없기 때문에 신경을 누르는 지점이 없고, 눌러서 아픈 압통(Tenderness)도 없다.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의원에서 시행한 대형 굳은살 치료 장면을 음성 설명과 함께 올려 두었다.
굳은살 티눈은 치료 후 자가 관리도 중요하다. 반복되는 마찰로 생기는 거라 같은 신발, 같은 보행습관, 같은 일이나 운동을 하다보면, 결국 똑같이 재발한다.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70374/
상기 링크의 믿을만한 연구결과를 꼭 참고하면 좋다. 제거 시술을 받은 환자 분들은 주 1회 간격으로 따뜻한 물에 20분 정도 발을 담그는 족욕을 하고, 이후 손발톱 용 사포(emery board, 아래 사진 좌측)나 굳은살 없애는 돌(pumice stone, 아래 사진 우측)을 가지고 치료 부위를 다듬어주어야 한다. 족욕은 발톱무좀이나 발 피부 관리에도 도움이 되는 습관이니 더욱 추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