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래끼 CO2 레이저로 제거 – 눈꺼풀에 생겨 안 없어지는 작은 혹, 출혈 통증 없이, 국민건강 보험 적용
눈꺼풀 주변에 여러가지 피부병이 생길 수 있는데 다래끼(맥립종; Stye)나 콩다래끼(산립종; Chalazion)가 대표적이다. 안구는 항상 촉촉해야 하기 때문에, 점액을 분비하는 샘 (gland) 조직이 여기저기 분포해 있다. 이런 샘에 피부 표면에 있는 세균, 바이러스가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면 맥립종이나 산립종을 형성하게 된다.
(좌) Chalazion 콩다래끼 (우) Stye 다래끼
간단한 다래끼는 소독된 수건에 정수기 뜨거운 물을 묻힌 다음 식혀서 하는 온찜질을 하루 5~10분 정도 하면 낫는다. 그래도 계속되면 안과나 가정의학과 의원에서 항생제 점악액이나 연고를 처방 받아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아래 사진 같이 단단히 굳은 다래끼는 이 정도 치료로 낫지 않는다.
하안검(下眼瞼)에 생긴 다래끼
사진 출처 https://www.reviewofoptometry.com/article/excise-and-conquer-adding-minor-surgical-procedures-to-the-optometric-office
이 경우 국소 마취 하에 절개 및 소파술(Incision and curettage; 칼로 째고 긁어내는 것)을 시행하는 게 전통적인 치료 방법이다(상기 사진 참조). 하지만 작은 다래끼는 간단한 레이저 시술로도 없앨 수 있는데, 이미 1988년도 부터 여러 사례 논문이 발표되어 왔다.
사진 출처 https://pubmed.ncbi.nlm.nih.gov/3419780/
카모마일 의원에 오셨던 환자 분도 안과에서 연고를 처방 받아 매일 사용했지만 2주 이상 다래끼가 지속되었다고 하셨다. 그래서 시술을 받기로 했고, 리도카인 크림으로 눈꺼풀 피부를 마취, CO2 레이저를 이용해서 제거했다. 안구에 레이저 빔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 외에는 아주 간단한 시술이다.
아래에 시술 과정을 보여주고 설명하는 동영상을 올려 두었다. 곪아 버린 다래끼의 치료는 국민건강보험의 절개배농(Incision and Drainage)을 적용 받아 저렴한 가격에 치료 받을 수 있다.
동네 의원 애플페이 도입기 –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
애플페이(Apple Pay)는 NFC(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에서 사용가능하다. 카모마일 의원에서는 기존 방식(IC 카드나 마그네틱 카드 접촉식 결제)의 단말기를 쓰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했다.
애플페이가 쓰는 결제 시스템인 EMV contactless(비자와 마스터 유니온페이 등 주요 신용카드사들의 연합체가 만든 NFC 비접촉 결제 규격, 한국식 NFC와 다름)가 마그네틱 카드 방식보다 안전한 글로벌 표준이 될 걸로 보이기 때문에, 일찍 단말기를 들여놓고 시험해 보기로 했다.
★ 애플페이 도입 1단계 – VAN사에 연락
VAN(Value Added Network)사는 상점, 식당, 병원 등 오프라인 사업장에서 입력된 고객의 결제 정보를 각 카드 회사로 보내주고 승인받는 매개 역할을 한다. VAN 업체를 끼지 않고 여러 신용카드 회사와 직접 결제 정보를 주고받는 곳은 대기업 소속 가맹점 외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카모마일 의원도 2016년 개원할 때 기본 결제 단말기와 카드 영수증 용지를 무료로 공급 받는 조건으로 정글통신이라는 업체와 계약을 했었다. 이번에도 이곳에 전화해서 애플페이용 단말기를 문의해보았다.
이지체크 TS-166 카드단말기
★ 애플페이 도입 2단계 – 단말기 선택과 출장 설치
카모마일 의원에서 기존에 쓰던 단말 결제기는 이지체크 TS-166 이었다. 이걸 통채로 바꿔야하는 줄 알았지만 그럴 필요는 없었다. TS-166에 연결해서 사용가능한 NFC 기능의 멀티패드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지체크 EP-763이었는데, EMV Contactless 인증을 받아서 글로벌 규격에도 맞았다. 스타벅스, 하이마트, 홈플러스에서도 사용하는 범용 모델이란 것도 마음에 들었다. 기존 삼성페이를 같이 쓰는 것도 문제가 없었다.
이지체크 EP-763 멀티패드
VAN사를 통해서 구매했고, 무료로 출장 설치도 해주셨다. 가격은 198,000원이었는데, 인터넷 최저가와 거의 차이가 없어 좋았다.
★ 애플페이 실제 사용 모습
아래에 카모마일 의원에서 실제로 애플페이를 사용하는 모습을 올려두었다. 아이폰과 애플워치 둘 다로 해보았는데 잘 되었다. 다만 사업주가 자신의 카드로 긁은 것이기 때문에 정식 매출 승인은 당연히 안 됐다.
★ 맺음말
Apple Pay 인기가 올라가면 다른 글로벌 규격의 Google Pay도 우리나라 상륙이 가능해질 것 같다. 삼성도 NFC를 도입해서, 갤럭시워치로 비접촉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하면(지금의 애플워치처럼), 좋은 변화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자급제 아이폰으로 교체 후 은행 혹은 카드사 앱 인증 문자가 발송 안 될 때
아이폰15가 라이트닝 포트를 버리고 USB-C를 달고 나온다는 소문에 기다리는 분이 많은 것 같다. 필자도 그러려 했지만, 어느새 밤낮 시간 날때마다 아이폰 가격을 인터넷 검색하는 스스로를 발견했다. 결국 크고 아름다운 아이폰 14 프로 맥스를 샀다. 선택약정 25% 할인에, LGU+ 인터넷을 쓰고 있어서 결합 할인이 되기 때문에 자급제 폰으로 기기 변경하는 게 이득이었다.
새 아이폰에다 이전 폰의 유심을 옮겨 끼우고, 재부팅 몇 번하니 인식이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평범한 문자는 잘 가는데 아래 사진 같은 금융사 인증 용도의 문자는 발송이 안 되는 것이었다.
결국 금융기관은 자사 앱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와 통신사의 일치 여부만 보는게 아니라, 통신사의 전산에 등록된 단말기 고유 정보도 확인하는 것이었다. 도난폰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인 듯 하다.
이 경우 ‘확정기변’ 이라는 것을 해야하는 데, LGU+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해서 먼저 시도를 해보았다.
ULK-A1778 이런 식으로 어렵게 써진 아이폰 모델명을 여러개 검색해서 입력 해도 “고객님께서는 단말기 정보가 없습니다” 라는 문구만 자꾸 나왔다. 결국 대리점에 가서 모델명과 폰 일련번호를 등록(확정기변)해주어야 했다.
가까운 LGU+ 지점이 다행히 오후 8시까지 영업 해서 퇴근 시간에 방문 했다. 확정기변은 1분도 걸리지 않아 간단했고, 곧바로 카카오뱅크 인증 문자 발송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DIY 기계식 알루미늄 키보드 소개 – Wuque Studio Mammoth75
일을 하다보면 하루에 컴퓨터 키보드를 만지는 시간이 순수 3시간 이상은 된다. 이렇게 손 가까이 있는 기기를 재밌고 기분좋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바로 기계식 키보드 DIY인데, 처음 시도하고 성공해서 글을 올리게 되었다.
(상) 일본 Topre사 REALFORCE 키보드 (하) 일본 PFU사 해피해킹 키보드
위 사진에 보이는 고가의 완제품 키보드는 오랫동안 컴퓨터 매니아의 맘 설렘 대상이 되어왔다. 리얼포스와 해피해킹 외에도 국내의 레오폴드(Leopold) 키보드, 중국의 바밀로(Varmilo) 키보드도 해외 하드웨어 리뷰 사이트에서 일본 회사들 못지 않은 좋은 평점을 받고 있다.
이런 기기들을 구입하려면 기본 20~50만원 정도의 돈이 들어간다. 하지만 그 돈이면 완성품이 도착한다는 장점이 있다… 커스텀 키보드는 온 걸 또 조립해야 한다.
커스텀 DIY 키보드는 용어대로 내 맘대로 하는 거라 가격이 천차 만별이다. 고급 DIY Kit(키캡과 키스위치만 있으면 완성품 조립이 되는)는 150~500달러 정도 가격으로 해외직구, 키캡 고급제품은 120~190달러 해외직구, 키스위치는 가장 많이 쓰이는 체리사 제품을 국내 구매로 4~7만원이면 키보드 한 개 분(스위치 70~120개 사용)을 살 수 있다.
아래에 DIY 키보드를 구매하기 전에 꼭 알아야하는 용어를 정리해 보았다.
1. 스테빌라이저(stabilizer)
스페이스바나 쉬프트 같은 기다란 키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하부 구조물. 작은 기본 단위 키들은 이게 필요 없다. 스테빌라이저를 따로 안 사도 기본 DIY Kit에 딸려 오는 경우도 있다.
2. 키보드 스위치(keyboard switch)
기계식 키보드의 찰랑거리는 타건감을 내주는 장치. 독일 체리(Cherry)사 제품이 범용하게 사용된다. 리얼포스나 해피해킹 키보드에는 토프레사 무접점 스위치가 사용되기 때문에 체리와 호환이 안 된다.
(상) 개별 스위치가 흩어져 있는 모습 (하) 키보드 키트에 스위치가 간간히 장착된 모습(흰색). 스테빌라이저도 스페이스바 포함 긴 키에 설치가 되어있다(검은색).
3. 키캡(Keycap)
문자나 특수기호가 각인되어 있는 키 겉 뚜껑. 아래 사진의 GMK사 Honeywell 키캡 세트는 가격이 189 달러로 고급 기계식 키보드 완제품보다 더 비싸다.
필자는 Tom’s Hardware라는 저명한 리뷰 사이트(하드웨어 부문 미국 5위, similarweb.com 2023년 1월 기준)에서 Wuque사의 Mammoth75라는 기기를 보고 구매를 결심했다. 디자인이 너무 맘에 들어서 조립의 귀찮음과 Groupbuy라는 시간 지체(주문 결제 후 8달 기다려야 함)를 모두 감수했다. 현 시점에서 이 제품을 구매하려면 국내 펀키스 사이트(https://funkeys.co.kr/)를 이용하면 된다. 다만 가격은 Groupbuy 때보다 당연히 비싸다. 아래는 Wuque Studio 홈페이지 사진들을 갈무리 한 것이다.
막상 DIY Kit가 도착하자 조립이 까마득하게 느껴졌지만 실제로는 별로 힘들지 않았다. 아래의 유튜브 링크만 참고하니 되었다.
조립에 필요한 스테빌라이저 윤활액은 추천에 따라 Krytox 205g0를 구매했고, 붓은 00과 000 사이즈의 paint brush를 검색해서 샀다. 그외에 따로 구입한 공구는 없었다. 초보자이지만 총 조립시간은 3~4시간 정도 되었다.
마지막으로 Mammoth75 키보드를 애플 아이패드와 아이맥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동영상을 올려보았다. 윈도우 컴퓨터에 기본으로 동작하는 키보드이지만, 별도의 조작 없이 USB 케이블 연결만으로 기본적인 기능은 다 되었다.
과일 만큼 커진 쥐젖 없애기 – CO2 레이저 사용, 동네의원에서 간단히
쥐젖은 피부 정상 조직이 마찰 등의 이유로 더 자란 것이다. 전문의학용어로는 ‘피부연성섬유종’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피부에 있는 부드러운 섬유질의 종양이라는 뜻이다.
유전적 요인으로 더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예방은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는 것이다. 때밀이 자주 하지 말고, 손가락으로 긁지 말고, 꽉 끼는 옷 대신 편한 면 소재 옷을 입는 실천을 하면 좋다.
그런데 일단 쥐젖이 생기면 저절로 없어지기 보다는 마찰로 인해 점점 커진다. 카모마일 의원에 환자로 오셨던 분의 사례도 마찬가지로, 4~5년 전에 등에 있는 쥐젖이 처음 발견되었는데, 이후 커져서 지금은 낑깡 만한 크기가 되어버렸다.
쥐젖이 커져서 과일만한 크기가 되었음. 가는 줄기만 태우면 덩이를 통째 제거할 수 있음.
큰 쥐젖을 없애는 데 가장 좋은 기계는 CO2레이저 이다. 수술용 가위로 뎅강 자를 수도 있지만, 출혈 방지 면에서 안 좋다. 레이저 열로 태우면 조직 소작(燒灼)과 출혈 관리를 같이 할 수 있어서 좋다.
이 정도로 큰 쥐젖을 집에서 없애는 건 더욱 추천 하지 않는데, 소독이 제대로 안 된 상태에서 잘라낼 경우 상처 감염과 벌어짐(Dehiscence)이 흔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아래 사진 참조).
DermNetNZ에 실린 피부 시술 후 합병증 사진들
아래에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한 큰 쥐젖 제거 시술 동영상을 올려두었다. 리도카인(Lidocain) 크림 마취 20분 유지 후, 시술은 3~4분 만에 끝났다. 그만큼 간단한 피부 질환이다.
렉서스 에어컨 필터 교체, 한국형 네비게이션이 글로브 박스 안에서 막고 있는 경우, 수작업 동영상 – 렉서스 4세대 GS250 GS300 GS350 GS-F 2012년 이후 모델
차 에어컨 필터 교체가 책장에서 책 바꿔 끼는 것처럼 쉽다는 말을 듣고 실행에 옮겼다. 정식 렉서스 서비스 센터에서 받으면 공임료까지 해서 95,900원 정도 한다(아래 사진 참조). 인터넷으로 필터를 사서 자가 설치하니 12,900원이 들었다.
필자가 구매한 곳은 아래 링크의 네이버쇼핑 업체였는데, 렉서스 기종 연식 별 자세한 필터 규격표도 나와 있다.
에어컨 필터(car cabin air filter)는 조수석 글로브 박스 안의 케이스에 놓여져 있다. 아래 사진의 공식 매뉴얼에 따르면 아주 간단한 작업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한국형 네비게이션’ 모듈 박스가 필터 케이스 전방을 가로막고 있어서 설치가 아주 까다로웠다.
정석대로라면 네비게이션 모듈을 다 제거하고 필터 교체를 하겠지만, 네비 연결선을 빼었다 다시 다 끼고, 공구를 사용해서 모듈을 제거하는 것도 번거로워서 그냥 수작업으로 밀어 넣듯이 교체를 해보았다. 다행히 필터 성능에 문제가 없었고, 바꿔끼자 마자 송풍구로부터 공기 흐름이 시원하게 뚫려 나와서 좋았다.
아래에 전체 교체 과정을 동영상과 자막으로 설명해 두었으니 참고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