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설문조사 결과에서 읽은 사실이다. 우리나라 대학 입시 면접에서 교수가 “이제까지 가장 감명깊게 읽었던 책은 무언가?” 라고 물으면 면접 학생들은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가장 많이 얘기한다고 한다. 하지만 주위에 물어보면 이걸 읽고 좋았다는 사람보다는 무슨 말인지 몰라 지겨웠다는 사람이 훨씬 많았다. 현 입시제도 내에서 불쌍한 고교생들은 시키는 공부를 군말없이 할 것을 압박받는다. 지금 힘든 것도, 삶의 의미도 일단 잊고, 입시 공부에 무당 접신하듯 몰두하는 것이다. 반면 <데미안>의 주제는 인간 각자가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아래 옮긴 데미안 책 구절을 읽으면 잘 알 수 있다.
내 가슴 속에서 치솟는 어떤 것, 나는 오로지 그것을 따라 살려고 애쓰고 싶었을 뿐이다. 그런데 그게 왜 그토록 어려웠던 것일까?
내 가슴 속에서 솟는 어떤 것은 존재의 본류로부터 흘러나오는 정신이다. 형언할 수 없고, 개척되지 않았지만, 나의 것이라고 느껴지는 운명을 찾는 것이다. 하지만 그게 어려운 이유는 존재 본류를 가로막는 인공적인 장애물들이 있기 때문이다. 장애물이란 세상에 길들여지며 정신에 들어와버린 티끌 같은 것들이다.
티끌 즉 가짜 자아는 집단 가치의 형태로 들어오며, 사회적응하는 데 도움을 주긴 하지만 본래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진짜 자아와 계속 마찰을 일으킨다. 예를 들면 학벌의식, 외모 컴플렉스, 명예욕 같은 것들이다. 좋은 대학가기 위해 공부하는 것도 데미안에 따르면 주체적 운명의 길이 아닌, 사회가 준 숙제를 푸는 것 정도이다.
그래서 만일 고교생이 진정 <데미안>에 감동받았다면, 명문대 입시 사람 공장이 되어있는 현 교육체제 부터 비판하고, 유명 래퍼 도끼처럼 자수성가하는 예술의 길을 갈 것 같다. 하지만 늘 사회는 돌출 행동을 하는 모난 돌에 정을 맞추려 하고, 보수적인 대학입시 면접관들도 도끼처럼 자유로운 영혼을 좋아하지 않을 것 같다.
서론이 길어졌지만, 주제를 돌려 프란츠 카프카로 돌아가 보자. 카프카도 데미안이 말하는 ‘가슴 속에서 치솟는 것’ 을 찾은 사람이었다. 그리고 그 운명은 ‘글쓰기’ 라고 하는 창작 행위에 중심을 두고 있다.
카프카의 문학에 대한 몰입은 아주 순수했던 것 같다. <카프카 평전>에 실린 편지나 생전 기록들에 따르면, 그는 작품 <화부>로 폰타네 문학상을 받았지만 기뻐하지 않았고, 자기 작품이 왜 빨리 유명해지지 않나 초조해하지도 않았다. 결정적으로는 폐결핵에 걸려 죽기 전 친구 막스 브로트에게 자신이 남긴 원고를 모두 불태워 줄 것을 부탁까지 했다.
그는 글 쓰는 것에 자기 존재를 걸었고, 마치 화가 반 고흐가 그림에 모든 것을 걸었던 것을 보는 만큼이나 감동적이었다. 여기서 내게 들었던 궁금증은 ‘글쓰기’ 가 어떤 느낌을 주었길래 그렇게 일생을 걸었느냐는 것이었다. 아마 한국 고교생이 하는 입시 공부 같은 느낌은 아니었을 것이다. 아래는 이주동作 <카프카 평전>에서 옮긴 내용인데 한 번 읽어보자.
그는 “예전부터 자신의 행복, 능력 그리고 가능성” 을 “문학적인 것” 으로 이용해왔는데, 그가 글을 쓸 때면 슈타이너가 말하는 “천리안적인 상태”, 즉 “망아 상태” 에 종종 빠지게 되며 “그 상태에서 모든 착상이 이루어지고, 그 상태에서 모든 착상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자신의 한계를 느낄 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모든 한계를 느낀다” 고 밝혔다.
망아(忘我) 상태는 자아의 경계가 사라지고 세계와 합쳐져 떠다니는 듯한 기분을 말한다. 아름다운 음악에 흠뻑 젖는다든지, 사랑하는 연인을 안고 있을 때의 기분이다. 자아의 감각이 없기 때문에 아집도 없고, 천리안적인 직감을 느낀다. 이런 예술가의 육감(六感)이라 부를 수 있는 감각이 카프카에게는 ‘가슴에 치솟는 어떤 것’이었으며, 거기에 일생을 바쳤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인정에 매이지 않고 예술적인 삶을 살 수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