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모사세

모사세 II – 인어공주

어린 정인이 텔레비전에서 보았던 만화영화는 원초적인 기억의 영상을 많긴 남긴 것들이었다. 안데르센 동화가 만화로 등장했는데 그 신비하고 슬픈 이야기는 꼬마의 심금을 울렸다. 바다에 살던 인어공주는 인간 왕자를 우연히 보고 사랑에 빠진다. 그녀는 사랑이 깊어진 나머지 마녀와 거래를 한다. 자기의 예쁜 목소리를 희생하는 대신 인간과 같은 두 다리를 얻은 것이다. 그녀는 바다에서 걸어 나와 왕국으로 가서 왕자를 만난다. 그녀는 왕자에게 얼마간 귀여움을 받았고 행복을 꿈꾸기 시작했다. 하지만 왕자는 곧 이웃 나라의 아름다운 공주에게 마음을 빼앗겨 버린다. 그때 그녀에게 인어 시절의 언니들이 찾아와 자신들의 머리칼과 맞바꾼 칼을 건네며 이걸로 왕자를 찌르면 다시 인어로 돌아갈 수 있으니 그렇게 하자고 설득한다. 인어공주는 고뇌하지만, 사랑하는 왕자를 죽일 수는 없었다. 그녀는 왕자의 결혼식 전날 스스로 바다에 몸을 던져 목숨을 끊는다. 마녀와의 거래에는 왕자의 사랑을 받지 못하면 바다의 거품이 된다는 조건이 있었다. 결국 인어공주의 영혼은 물가에 영원히 생겨났다 사라지는 거품이 되어 버린다. 마치 끝 없이 그리워하며 갈구하는 인간 모두의 마음을 상징하는 것처럼.

인어공주 이야기는 정인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그때 정인은 사춘기가 시작되기 전이어서 남녀간의 애틋한 사랑이라는 게 무언지 몰랐다. 하지만 인어공주가 바라지 말아야 할 것을 바랬기 때문에 죽고 거품이 되어 버렸다는 사실은 정확하게 이해했다. 하지만 이런 이해가 정인을 더 냉정하고 조심스런 아이로 만든 건 아니었다. 다만 이상한 효과를 낳았을 뿐이다. 정인은 매일마다 인어공주의 꿈을 꾸었다. 아름답고 가녀린 그녀는 인간 세상으로 올려져 큰 어항 같은 것에 들어 있었다. 꿈이 반복되고 깊어지면서 정인은 자신이 인어공주가 되고 싶다는 마음을 품는다. 아이의 생각은 동화보다 더 동화적이어서 이불 안의 뜨거운 방바닥에서 땀이 뻘뻘 나는 것을 오래 참고 있으면 자기가 인어로 변할 거라고 믿었다. 훗날 어른 정인은 프로이트의 책을 읽고 나서 왜 그렇게 인어가 되고 싶어 했었는지 이유를 알게 된다.

일곱 살 정인의 하루하루는 강물 흘러가듯 흘러가고 있었다. 금방 끝나는 학교 숙제를 마치면 나머지 시간엔 한가히 날아가는 나비처럼 팔랑팔랑 놀면 되었다. 그 날은 잡초와 민들레가 무성한 개천가를 걷는 하교 길이었다. 강둑으로 산들바람이 불고 있었고 풀밭을 비추는 햇빛이 있었다. 학교 운동장에서 친구와 했던 테니스 공 던지기를 생각했고 베란다에서 키우던 강남콩 화분도 생각했다. 화분은 슬기로운 생활 과목의 숙제였는데 싹이 돋고 자라는 게 신기해서 30분 마다 한 번 얼마나 자랐나 확인하러 가보곤 했다. 어제는 싹이 땅에서 2센티 정도 나와 있었다. 그저께는 작은 떡잎 두 개가 보이는 정도였다. 점점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 보았다. 한 달 전에는 아예 화분에 콩을 키우지 않았다. 그때 콩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줄기에 달려 자라고 있었겠지. 그렇담 1년 전 그리고 그보다 더 1년 전에는? 그때는 아예 콩 줄기도 없었을 텐데… 모양이 없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콩은 그렇다치고 나는 무엇을 하고 있었던 것 일까? 정인은 자신이 하루를 어떻게 보내왔는지 다 기억할 수 없다는 걸 알았다. 그때도 운동장에서 놀았던가? 어떤 다른 숙제가 있었던가? 더 강렬했던, 주로 어둡고 무서웠던 영상의 단편이 존재하지만 일상의 기억은 없었고, 그 기억이란 게 뭔지도 몰랐던 나날들이 있었다. 과거는 하나의 빈 공간으로 녹아 있었다. 다만 정인의 기억이 시작된 날 인생 기록의 첫 페이지가 쓰여지고 있었던 것이다. 정인은 지금에서야 이런 생각을 한다.

“내가 나라는 생각을 안 하고 있었을 때 나는 무엇이었을까? 내가 엄마 배 속에서 자라나 몸을 가지게 되었을 때, 그 처음부터 내가 나인지 알고 있지는 않았다. 배 속에서 나와 세상을 보았을 때 비로소 나를 나라고 불러주는 존재가 주위에 있었다. 엄마도 아빠도 내 이름을 불러 주었다. 정인아 착하지 정인아 이렇게. 그래서 나는 나와 다른 사람을 구별하면서 만들어 졌다. 만약 주위에 내 이름을 불러주는 사람이 없었다면, 나를 만져줘서 감촉의 차이를 알려 주는 사람이 없었다면 나는 세계와 구별이 없이 한데 녹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고 그래서 난 이렇게 세상에 풀처럼 피어나 버렸다. 그래 어떤 철학자가 말했던 것처럼 나는 생각하므로 존재하고 있다. 나를 나라고 부르는 그 개체, 자아, 생명, 그 무엇으로 부르던 간에 그건 천천한 맺힘이 있었고 끝에도 천천한 사라짐이 있을 것이다. 누가 나를 불러도 더 이상 대답할 수 없을 때, 그 때 내 몸의 응집도 무너지고 맥박도 사라져, 품고 있던 영혼도 다시 원래 있었던 곳으로 돌아갈 것이다. 구름이 모여 비가 되어 내리듯, 그 비가 작은 개울이 되고 강이 되어 흐르듯, 그 강이 넓은 바다와 찬란한 하늘을 바라보며 나아가듯. 그리고 저 하늘이 늘 영원한 하늘 그대로 인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