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발톱무좀

약 먹고 레이저 치료 오래 해도 안 낫는 발톱 무좀 – 곰팡이 덩이를 잘라서 치료 효과 부위를 넓혀야 완치

 
 
노랗거나 갈색으로 두꺼워진 발톱무좀은 곰팡이로 인해 생긴다. 곰팡이(fungus)는 세균(bacteria)이나 바이러스(virus)와 마찬가지로 미생물(microorganism)로 분류되고, 자기만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선 곰팡이는 생존에 수분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수분(땀)이 찰 수 있는 발이나 사타구니, 겨드랑이에 잘 발생한다.
 
그리고 피부 각질이나 발톱 같이 피가 닿지 않는 신체 표면에 잘 자라난다. 더 깊은 피부 조직에는 혈액 순환이 되고, 곰팡이를 죽이는 면역체계가 가동되고 있기 때문에 침투 되기가 어렵다. 게다가 표피(epidermis; 피부의 가장 바깥 층)와 발톱은 케라틴(keratin)이라고 하는 단백질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는데, 곰팡이는 이걸 먹이처럼 사용해 번식한다.
 
결국 인체 혈액 순환과 따로 떨어져서 존재하고, 미생물 곰팡이를 한 없이 번식하게 하는 두꺼운 발톱 덩이를 줄여야 완치가 된다. 먹는 항진균제(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물)는 혈액 순환이 되는 부분에 작용하는 것이라 약제 단독 복용으로는 중증 조갑백선(발톱 무좀)의 치료가 안 된다.
 
​ 


 

​1. 발톱 무좀 레이저 치료

 
상기 동영상 링크에서 핀 포인트 레이저(The PinPointe™ FootLaser®) 치료 장면을 볼 수 있다. 곰팡이 조직을 없애는 레이저의 물리적 힘을 사용한다. 하지만 곰팡이는 미생물이고, 균을 죽이는 화학적 치료인 약제 병용 없이는 완치가 어렵다.
 
레이저 단독 치료 시 발톱무좀 완치율은 63% 였고, 이는 약제 치료 보다 살짝 낮은 수치이다.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laser-treatment-for-nail-fungus#effectiveness
 
​ 


 

​2. 전동 드릴로 발톱 무좀 조직 없애기

 
네일케어샾이나 발 전문 클리닉에서 받을 수 있는 치료이다. 전동 드릴로 발톱 연마(grinding)를 하는데, 레이저보다 더 시원하게 오염 조직 제거를 한다. 하지만 역시 물리적 작용이기 때문에 눈에 안 보이는 진균(眞菌; 곰팡이 균)까지 죽일 수는 없고, 약제 복용과 병용해야 최적의 효과를 낸다.
 
이런 발톱 스케일링(scaling) 도구는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에서 ‘nail drill’로 검색하면 비싸지 않고 성능 좋은 제품들을 찾을 수 있다. 그걸로 집에서 자가 치료를 해도 좋다.
 
​ 


 

​3. 금속 도구 사용 큰 곰팡이 덩이 없애기

상기는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발톱 무좀 데브리망(debridement; 죽은 조직 제거술) 장면이다. 전동 드릴로도 제거가 안 될 두꺼운 발톱에 금속 니퍼를 사용했다. 이 정도 발톱은 10회 이상 레이저 치료를 받아도 효과를 못 보는 경우가 많다. 큰 덩이를 제거하고 항진균제(네일라카)를 바르고 먹는 약제를 병용하면 완치까지 걸리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발톱 무좀은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질환이고, 먹는 약(상기 사진 좌측)도 네일라카(상기 사진 우측)도 각각 만원이 안 되는 돈으로 약국에 처방전 내면 살 수 있다(라미실정 30정 약제비 7,500원, 로세릴네일라카5mL 1통 9,000원).
 
​하지만 약제와 네일라카가 최대의 효과를 보려면 우선 발톱에 자란 큰 곰팡이 덩이를 레이저로든 드릴로든 금속도구로든 줄여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면 좋다.
 
 

너무 두꺼운 무좀 발톱 치료 – 의료용 펜치 사용 다 잘라내기

 

곰팡이로 인해 누렇고 두꺼워진 발톱은 그냥 놔두면 평생 간다. 마치 식물 – 썩은 고목나무 – 처럼 그렇게 되는 이유는 발톱의 성분인 ‘케라틴’ 조직이 곰팡이 감염으로 변성된 채, 혈관과 신경으로 연결된 신체망과 단절되어 스스로 생태계를 이뤄서 그렇다. 아래 현미경 사진을 보시면 곰팡이(진균)이 결이 고운 정상 발톱을 얼마나 망가뜨리는지 잘 알 수 있다.

 

전자현미경 사진 (좌) 정상 발톱 (우) 무좀 발톱


 

이런 죽은 케라틴 조직을 절제하는 게 발톱 무좀 치료의 핵심이다. 제거를 안 하면 먹는 약을 아무리 오래 먹어도, 바르는 물약을 아무리 오래 발라도 낫지 않는다. 먹는 약은 혈액에 섞여 발톱 근처로 이동하는데, 발톱에 곰팡이 양이 너무 많아 효과가 없어지고, 물약도 두꺼워진 발톱 표면의 곰팡이만 겨우 죽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의료용 Plier


 

많이 두꺼워진 무좀 발톱은 평범한 외과 가위로는 절제가 어렵고, 니퍼 nipper 아니면 cutting plier 라고 불리는 도구를 쓰면 정말 편하다.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시행한 치료 시술 장면을 설명과 함께 올려 두었다.

 


 

발톱 무좀 데브리망 시술 – 내버려 두면 평생 가는 두껍고 노란 발톱 치료 방법 비교

 
가벼운 면 셔츠에 반바지를 입고 해변으로 가고 싶은 여름이다. 하지만 그런 산뜻한 복장 샌들 너머 누렇고 두꺼운 무좀 발톱이 보인다면 정말 우울할 것 같다.
 


 

발톱 무좀에 걸린 걸 치료 없이 오래두면 위 사진처럼 두꺼워진다. 이 정도 발톱의 경우, 경구 약제만으로는 평생 먹어도 안 낫는다. 곰팡이가 덩이져서 형성된 두꺼운 발톱 끝에는 혈액이 닿지 않기 때문에, 소화되서 혈류에 섞여 치료 효과가 나는 먹는 약으로는 치료 불가이다.

오염된 조직의 곰팡이를 제거하는 바르는 약물이나 절제 시술이 필요한 까닭이다. 시중에서 흔하게 쓰이는 치료 방법들을 비교해 보았다.
 


★ 발톱 무좀 치료 물약 / 시술 비교

 

1. 풀케어 (한국메나리니)
발톱에 바르는 물약이다. 전문의약품이 아니어서 약국에서 바로 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의약품이라 효과가 약하다. 약물 자체에 조직 침투력(죽은 조직을 부식하는 능력)이 미약해서 중증 발톱 무좀의 경우 수 개월 이상 써도 안 낫는다.
 

2. 핀포인트 레이저 (The PinPointe™ FootLaser® – NuvoLase, Inc.)
레이저의 물리적인 작용으로 무좀발톱을 구멍 뚫어 없앤다. 단점은 비보험이라 비싸다는 것, 물리적인 작용만 있으므로 단독 치료로는 완치가 안 된다는 점이다. 화학적 치료인 약물 사용이 병용되어야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실비보험이 적용다면 시도해도 나쁘지 않다.
 

3. 주블리아 (동아에스티) – 일본 시장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전문의약품이라 의사 처방전이 필요하다. 같은 물약인 풀케어에 비해 훨씬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단독 사용으로도 완치가 가능하지만, 중증의 경우 기본 9개월 이상 연속 사용해야 기대할 수 있다.
 

아래 소스의 UpToDate 논문 리뷰를 통해서 결론을 내보면 1번 치료 풀케어는 효과가 약하고, 2번 레이저 치료는 근거 논문이 빈약하고, 3번 주블리아는 효과는 좋지만, cost effectiveness 즉 가성비가 단점인 치료이다.

UpToDate – Onychomycosis: Management
Authors: Adam O Goldstein, MD, MPH / Neal Bhatia, MD
Last updated Mar 22, 2018.
(UpTodate는 가장 흔히 쓰이는 영문 의학 논문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 최단기간 완치되는 발톱 무좀 치료 실제

 
곰팡이(진균) 감염된 조직을 데브리망(debridement) 즉 시술 도구로 다 깎아내면서, 조갑백선(발톱무좀)에 가장 효과적인 항진균제인 Terbinafine 제제 복용을 병행하는 것이다.

의원에서 Terbinafine 약을 처방받아 3개월 이상 복용하고, 1주일에 1회 데브리망 시술을 받으면 된다. 서초동 카모마일 의원에서 2년 이상 진료 추적한 결과, 고령이고 당뇨가 있는 환자 분의 중증도가 심했던 발톱무좀도 이같은 치료로 완치됨을 확인했다.

무좀은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질병이고, 약제비도 시술비도 보험수가가 비싸지 않다. 아래에 실제 시술 동영상을 올려 두었다.

두꺼워진 조갑백선(발톱무좀) 병변을 기구로 데브리망 하고, Amorolfine 성분의 항진균 물약을 도포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