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in Category: 경제적인 생활

면세점 안 가고 추석 선물 양주 싸게 사기 – 남대문 수입 주류 상가, 온누리 지류 혹은 모바일 상품권 10% 할인 구매로

 
 
2023년 4월 1일부터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신규 발행이 중단 되었었다. 비플제로페이 스마트폰 앱에서 10% 할인가로 상품권을 구매해서 전통시장(남대문 주류상가)에서 양주를 사던 길이 막힌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가지고 있던 구형 온누리 상품권 잔액을 환불했다. 원래는 모바일 상품권 구매 후 1주일 이내로만 전액 가능하지만 (구)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이 신형으로 바뀌면서 기존 구매분은 언제든 환불이 가능해졌다.
 
비플페이 기본 화면에서 좌측 상단 <온누리상품권>을 클릭하면 이어지는 온누리Pay 화면에서 우하단 <더보기>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 좌측 사진의 창이 뜬다. ① <상품권 환불> 클릭 후, ② 중앙 사진의 <환불하기> 클릭. 그러면 우측 사진의 메세지가 뜬다.
 


 
​ 


 

★ 9월 21일부터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발행 재개, 지류와 모바일 모두 10% 할인율 (한시 적용)

다섯달 넘게 막혀 있던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판매가 재개되었다.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보도자료를 통해 새로 발행되는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매 한도를 월 7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하고, 할인율 10%를 연말까지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https://www.mss.go.kr/common/board/Download.do?bcIdx=1021677&cbIdx=30&streFileNm=fdd384ff-d95f-417b-b376-d43132c67e9a.hwp
​ 


​ 

지류 온누리상품권(종이상품권)은 할인율을 5%에서 10%로, 할인구매 한도를 월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한다고 했다. 기간은 9.21~9.29일까지로 명시했으니, 이 시기 이후에는 다시 기존의 5%로 돌아갈 것 같다. 결국 면세점 안 가고 양주를 5%할인이 아닌 10%할인으로 대량 구매하려면 시기를 잘 택해야 한다.
 
​ 


 

★ 지류 온누리상품권 구매법

​​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운영하는 <전통시장통통> 사이트에 지류 상품권 구매처가 나와 있다(상기 사진). 현재 지류와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모두 10% 할인 상태이다. 그러니 둘 중 편한 방법으로 상품권을 구매하면 된다. 하지만 대체로 상점들에서는 현금이체>지류상품권>모바일상품권 순서로 선호하시는 것 같다.
​​ 
​아무튼 주류 상회들이 대거 위치한 남대문시장 <대도종합상가>의 100미터 거리에 IBK 기업은행 남대문시장 지점이 있어서 방문해 보았다.
​​ 


​​ ​

금융기관 창구에서 지류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미리 현금과 신분증을 준비해야 한다. 기업은행 계좌에 돈이 있다고 창구에서 바로 그걸 써서 상품권을 살 수는 없다. 일반창구 대기 번호표를 뽑고 기다렸더니 금방 차례가 왔다. 아래와 같은 전자 신청서를 작성하고 종이상품권과 할인 금액 거스름돈을 돌려 받았다.
​​ ​


​​​ ​

​​​ ​​
​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비플페이앱 구매법

앱스토어나 구글플레이에서 ‘비플페이’를 검색해서 내려 받는다. 간단한 본인인증과 회원가입을 마친 후 상품권 금액을 결제할 은행계좌를 등록한다.
 
① 비플페이 홈화면에서 우측 하단의 <더보기>를 클릭하고, 이어지는 화면에서 ② 우측 상단의 환경설정 톱니바퀴 아이콘 클릭, 그리고 ③ 계좌관리를 누른다(아래 사진 참조).
 


 ​

그다음 아래 사진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계좌 추가>를 누르고 은행을 선택하고 ARS 인증을 받고 마친다. 여기까지 하면 비플페이앱에서 모바일 상품권을 살 준비가 다 된 것이다.
 


​ 

​앱 홈화면에서 좌측 상단의 <온누리상품권> 탭을 누르면 온누리Pay 화면이 뜬다. ‘보유하신 상품권이 없습니다. 구매하시겠습니까’를 누르거나 그 아래 좌측 ‘구매하기’를 클릭해서 이동한다. 상품권 권종을 선택하면 되는데, 기본 10% 할인이 적용되는 걸 확인하자. 하단의 구매하기를 클릭 후 미리 설정한 거래승인번호 6자리를 입력하면 구매가 완료된다(아래 사진 참조).
​ 


​ ​

이렇게 구매한 모바일 상품권은 온누리Pay 화면에서 ‘결제’ 버튼을 누르고 거래승인번호를 입력해서 쓸 수 있다. 필자는 대도종합상가 지하 1층 에스컬레이터에서 내리면 바로 보이는 <석진상회>에서 까뮈(Camus) 꼬냑 1병을 85,000원에, 발렌타인(Ballantine’s) 17년산을 1병 95,000원에 구매했다. 상품권 할인을 반영하면 면세점 가격과 비슷하게 된 것이다.
​ 


​​ 

남대문 주류 상가의 대표상품들 가격은 아래 링크의 구글 스프레드쉬트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정부에서 소상공인 지원으로 시행하는 온누리 상품권 할인 행사가 성황리에 마쳐졌으면 좋겠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mZos-qRBEfH5Ud6vNdEKTUTVnGPdeZrvEj1H5oATzsA/edit?usp=sharing
​​ 
​​​ 

알리익스프레스 금속제 수납장 – 선반 길이 조절 가능, 소형 냉장고 서랍장 위 공간 사용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를 왜 쓰냐고 하면 다들 싸서 쓴다고 할 것이다. 미국 아마존 직구는 배송대행지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비용이 추가되고, 150달러 이상 물품에 대한 10% 관세도 문제이다. 하지만 알리는 저가의 물건을 배송비 없이 혹은 소액의 배송비로 받을 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배송이 오래 걸린다는게 단점이었는데, 그것도 마동석님을 모델로 한 프로모션으로 좋아지는 중인 것 같다.
 

행사 상품의 5일 배송을 보장하는 “마동석의 choice”


 

이제까지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매했던 물품은 UGREEN, ORICO, BASEUS 사의 컴퓨터 및 스마트폰 주변기기였다. 가격은 국산품이나 아마존 상품의 반도 안 되었지만, 품질 문제는 한 번도 없었다.
 
​브랜드 제품이 아닌 중소기업의 원목 키보드 팜레스트를 주문한 적이 있는데, 배송 과정에서 미세하게 파손되어 왔다. 반품 신청은 하지 않았지만, 앞으로는 마구 선적해도 깨지지 않는 제품을 주문해야지 생각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휘어도 다시 구부릴 수 있고, 지지력도 좋은 금속제 2단 선반을 구매하게 되었다.
 

업무공간 한 편의 무질서한 모습


 

작은 서랍장과 냉장고 위에 선반을 놓아서 물건을 정리하는 게 필요했다. 특히 몬스터 에너지 드링크를 박스 채 사놓고 먹는데, 그걸 쌓아놓고 싶었다.
 
그래서 아래 링크의 알리익스프레스 상점에서 금속제 수납장을 구매했다. 원래 전자레인지를 덮도록 놓고, 상부에 물건을 쌓을 수 있게 설계된 선반이다. 가로 길이 조절이 되어서, 작은 냉장고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크기도 된다. 가격은 1단 선반이 14,555원, 2단이 23,619원 밖에 안 되었다.
https://www.aliexpress.com/item/1005005137964526.html?spm=a2g0o.order_list.order_list_main.41.5e1018029OyS3p
 

2단 수납장을 두 개를 놓고 정리한 모습


 
 

★ 조립 방법

조립을 위해서는 육각렌치볼트를 많이 체결해야 한다. 그런데 제품에 기본 포함되어 있는 L형 육각렌치 공구로는 자꾸 헛손질을 하게 된다(힘줘서 볼트를 돌리면 자꾸 렌치가 빠짐).
 


 

그래서 아래 사진의 T 핸들 육각 봉 렌치나 전동드릴에 고정해서 쓸 수 있는 육각렌치 비트를 사용하는 걸 추천한다. 경험상 조립시간 반이 단축된다.
 

(좌) T 핸들 육각 봉 렌치 스타렉슨STAREXON (우) 이케아 FIXA 전동드릴 드라이버


 

가로 길이를 늘릴 수 있는 관절 부위가 아닌, 고정부위에 먼저 볼트를 체결하며 조립을 진행하면 된다. 아래에 순서를 사진으로 올려 두었다.
 


 
 

신세계상품권 모바일 교환권 – 온라인 사용 아주 자세한 설명

 
 
카톡 선물로 <신세계상품권 모바일 교환권>을 받을 때가 있다. 그냥 <모바일 상품권>과 <상품권 모바일 교환권>은 다르다는 걸 기억하자. 상품권 교환권은 상품권(종이든 모바일이든)으로 교환을 해야만 쓸 수 있다. 롯데 상품권 교환권도 스타벅스 상품권 교환권도 모두 마찬가지이다.

신세계상품권 모바일 교환권은 온라인에서 바로 모바일 상품권으로 바꾸거나(스타벅스 상품권 교환권은 이게 가능함), 신세계 포인트로 바꿀 수 없다. 오직 오프라인 매장(교환처로 지정된 이마트 혹은 신세계 백화점)에서 정식 종이 상품권으로 교환해야만 쓸 수 있다.

모바일 교환권은 유효기간이 있어서, 기간이 끝나면 액수가 날아간다. 하지만 종이 상품권은 유효기간이 없기 때문에(원래 5년 유효기간이 있었지만 폐지됨) 적당한 때 바꿔주는게 필수이다.
 
 

 
 


 

1. 교환처 방문, 신세계 상품권 무인 키오스크 이용

신세계상품권 모바일 교환권에는 교환처가 적혀있다(아래 사진 좌측 확인). 이마트가 교환처인 모바일 교환권을 신계계 백화점에서는 바꿀 수 없으니 유의하자. 이마트에 가면 신세계 상품권 무인 키오스크가 있다.
 
 

 
 
​​키오스크 사용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모바일 교환권 상품권 교환> 버튼을 누르고 스마트폰 화면의 상품권 바코드를 인식시키면 된다.
 
 

 
 


 

​2. SSG Pay 앱을 통해 SSG Money로 전환

종이상품권을 SSG Pay 앱을 통해서 SSG Money로 바꾸면 좋다. 쓱 머니는 쓱 페이 온·오프라인 가맹점 – 신세계백화점, 이마트(이마트24 편의점 포함), 스타벅스, 스타필드, SSG닷컴 온라인, CGV 온라인 – 등 수많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SSG 페이 앱으로 들어가서 ① SSG MONEY를 클릭, 이어지는 화면에서 ② 충전을 누른다. 그러면 ③ 신세계상품권으로 충전하는 메뉴가 나온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종이 상품권 후면의 바코드를 인식시키면(아래 사진 좌측)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세지가 뜬다. 그러면 상품권 전면의 홀로그램 부분을 동전으로 긁으면 나타나는 6자리 번호(아래 사진 중앙)를 입력하면 된다. 드디어 온오프라인 사용처가 무궁무진한 쓱 머니로 전환하는데 성공한 것이다(아래 사진 우측).
 
 

 
 

자전거 브레이크 패드 교체 – 가장 흔한 림 리니어풀, 인터넷 구매 부품으로 DIY

 
 
30년도 넘게 자전거를 탔는데, 타고 다녔던 모든 모델에서 브레이크는 림 리니어풀 이었다. 림(Rim)이라는 건 바퀴의 테, 즉 까만색 타이어 안쪽 은색으로 빛나는 부분을 뜻한다. 림 부위를 압착해서 작동하는 브레이크 중 리니어풀(Linear-pull) 혹은 브이브레이크(V-Brake) 타입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로드나 전문가용 MTB를 제외한 일반 자전거의 표준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는 자동차에서 쓰이는 브레이크와 작동원리, 구조가 같은 고급 자전거의 표준이다.
 
​​

(좌) 림 리니어풀=브이브레이크 (우) 디스크 브레이크 타입


 ​

5년 넘게 굴리던 자이언트 자전거의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니 끼이이이 하는 소리가 났다. 브레이크 패드나 림에 이물질이 꼈나 했지만, 알고보니 패드가 너무 닳아 슈즈 금속부분이 림과 맞닿아 소음을 내는 것이었다.
 

브레이크 패드(슈즈) 고무 부위가 다 닳아 단면을 보니 은색 쇠가 보였다


 ​

​결국 브레이크 패드를 갈아주어야 했는데, 인터넷으로 부품을 사서 DIY 하기로 했다. 바라딘(Baradine)사 MTB-959V를 구매했는데 가격은 한 쌍에 4,400원이었다. 헌 브레이크 패드를 빼고 새 패드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공구는 집안에 굴러다니던 육각 렌치(Hex Key; Allen Wrench) 한 개로 다 되었다.
 

(좌) 바라딘 브레이크 슈즈 (우) 육각 렌치 세트


 

더 복잡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을까,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지 않을까 걱정을 했으나 정말 간단하게 되었다. 브레이크 암을 고정하는 얇은 금속 케이블을 헐렁하게 풀어서 패드를 교체하는 작업 공간을 마련 하면, 하나도 어렵지 않다. 아래에 자전거 브레이크 패드 교체 작업을 자막과 함께 동영상으로 올려 두었다.
 

 
 

하이패스 영수증 스마트폰 출력 – 모바일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 가입 및 인쇄 방법

 
 
회사 일로 출장을 가면 교통비 영수증을 챙겨서 환급을 받는다. 필자도 그런 경우 하이패드 단말기가 있지만, 일부러 현금 카드 징수 통로로 가서 종이 영수증을 받은 다음 그걸 사진으로 찍어서 보내곤 했다.
 
어느 날 출장을 떠나 고속도로에 진입했을 때, 실수로 카드 지갑을 놓고 온 걸 알게 되었다. 하지만 차 안에서 인터넷 검색으로 하이패스 통행료도 영수증 출력을 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고, 길을 안 돌아가도 되었었다.
 
하이패스 영수증 출력은 PC로 하는 것보다 스마트폰으로 하는게 나은데, 잡다한 인증 부가프로그램을 설치 안 해도 되기 때문이다. 아래에 아이폰 기준으로 자세한 방법을 설명해 놓았다.
 


 

1.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 회원 가입

http://www.hipass.co.kr/main.do
 
먼저 하이패스를 주관하는 한국도로공사의 인터넷 사이트에 들어간다. 회원가입을 하면 되는데, 아이폰의 네이버 앱에 연결된 브라우저에서도 잘 진행된다. 로그인 화면에서 회원가입을 클릭하고, 약관동의 본인인증 정보입력 후 완료된다. 아래 사진을 참조하자.
 


​ 


 

2. 하이패스 카드 정보 확인 및 등록

하이패스 카드는 아래 사진처럼 생겼다. 16자리의 카드 고유 번호는 뒷면에 인쇄되어 있다. 먼저 해당 번호의 카드가 홈페이지에 제대로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웹페이지 우측 상단 사람 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나타나는 <마이페이지>에서 <내 하이패스 카드>로 들어간다. <등록카드> 목록에서 카드 번호를 찾는다. 만약 없다면 카드 종류(선불/후불), 카드 회사(SM 하이플러스카드/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카드/EX 모바일 충전카드 등등)를 선택 후 등록한다.
 


 
조회가 안 된다면 영업소나 휴게소에서 구매한 카드 정보가 등록이 안 되어 있는 경우이다. 하이플러스 카드사 홈페이지(www.hipluscard.co.kr)로 가서 <자동충전 카드등록> 메뉴에서 하이패스 카드 번호를 입력하고 본인 인증, 결제 방법 선택 후 등록한다.
 


 

3. 영수증 출력

모바일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에서 <자주찾는 서비스> <사용내역 조회>로 들어간다. 그러면 날짜 별, 카드 별로 통행료 납부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영수증을 하나씩 출력할 수도 있고, 아래 사진처럼 여러 개를 한 종이에 담을 수도 있다. 아이폰 화면을 캡처(측면 버튼과 음량 높이기 버튼을 동시에 누름)해서 저장 후 출력하거나, 해당 사진을 담당자에게 문자로 보내서 쉽게 처리하자.
 

 
 

책 싸게 대량 구매 자세한 방법 – 문화상품권을 상테크용 신용카드로 결제, 매번 8% 이상 할인 받기

 
‘상테크’라는 단어가 있다. 상품권 + 재테크 인데, 상품권을 살 때 5% 나 10% 할인받아 사는게 보통이라, 그 퍼센트 차이로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이다. 상테크가 잘 되는 상품권 종류가 있고, 그 상품권을 구매할 때 쓰는 유명한 신용카드나 간편결제 방법도 따로 있다. 이런 비공식 재테크가 활발해지다 보니 주요 일간지 경제면에 소개까지 되었다.
 


 

책을 많이 자주 사야할 때 가격이 부담되기 마련이다. 상테크 방법을 응용하면 매번 구매할 때마다 최소 8% 정도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아래 처음부터 끝까지 그 자세한 방법을 설명해 두었다.
 

 

1. 가격비교 사이트를 통해 최고 할인율로 문화상품권 구매

인터넷 가격비교 사이트의 빅 3는 네이버쇼핑, 다나와, 에누리라고 할 수 있는데 다나와가 상품 종류별 검색이 가장 세분화되어 있다.
 


 

5만원권을 7% 할인된 가격인 46,5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다나와에서 해당 오픈마켓(지마켓, 옥션, 11번가 G9 등등)으로 들어가 컬쳐랜드 온라인 문화상품권 결제를 준비한다.
 

 

2. 상테크용 신용카드를 선택해 문화상품권 결제

문화상품권을 살때 실적 충족과 포인트 적립이 되는 신용카드를 선택하는게 중요하다. 요즘 신용카드 포인트는 현금과 동일하게 쓸 수있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현금으로 바꾸거나 세금납부를 하거나 외화로 환전하는 것도 가능하다(마이신한포인트의 경우).
 

(좌) 포인트를 현금캐시백 (중) 포인트로 국세납부 (우) 포인트로 외화환전

 

신용카드 포인트 1점은 현금 1원과 같고 안 쓰면 손해라는 것을 기억하자. 특히나 요즘처럼 은행 이자가 연 2%도 안되는 시기에는 더욱 그렇다. 상품권으로 7% 할인 받고, 이 결제 금액으로 2% 포인트 적립을 받으면 종합해서 8.86%의 혜택을 받는 것이다.
 


 

필자는 상품권 구매에 신한하이포인트 카드를 썼는데, 카드 실적 인정이 되면서 2%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이런 상테크용 신용카드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다. ‘상품권 실적 인정 신용카드’ 같은 검색어로 찾으면 된다.
 

 

3. 온라인 문화상품권 번호 이용 인터넷 서점 책 구매

오픈마켓에서 구매한 온라인 문화상품권은 그 고유번호를 컬쳐랜드 앱이나 웹사이트에 입력해서 캐시화 할 수 있다. 이때 12에서 16자리나 되는 번호를 일일히 손으로 입력하지 않고 앱의 스캔 기능을 이용하면 편하다. 온라인 문화상품권이 10장 있어도 금새 컬쳐캐쉬로 바꿀 수 있다. 아래 동영상에 자세한 방법을 설명해두었다.
 


 

컬쳐캐쉬는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등 인터넷 서점의 결제 단계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알라딘을 예로 들면, <외부 포인트 사용하기>로 들어가서 컬쳐랜드 컬쳐캐쉬를 클릭하고 회원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 가능한 포인트가 즉각 뜨게 된다(아래 사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