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가짜나

리플리 증후군과 살인자 철학자 – 루이 알튀세르

리플리 증후군(Ripley’s Syndrome)은 가상적인 정체성을 만들어 내고 거기에 맞추어 사는 인격 장애의 유형이다. 주로 자존심에 미달하는 학벌이나 경제∙사회적 위치에 대한 거짓말을 확대 재생산하면서, 결국 완전히 다른 사람의 삶을 인생 연기하듯 살게 된다.

‘그것이 알고 싶다’ 프로그램에 대표적 사례로 나온 적이 있는데 있는데 제목은 ‘신입생 엑스맨’ 이었다. 시작이 미스테리 영화처럼 섬뜩했다. 한 대학교 신입생 OT에서 왁자지껄 어울려 놀고 있는 남자 신입생이 있다. 그런데 이 아이는 작년 다른 대학교 신입생 행사에도 참석해서 놀았었고, 사진에도 찍혀 있었다. 그리고 그 전년도 다른 학교에서도, 그 전전년도 어딘가에서도… 확인 결과 그는 6년 동안 48개의 다른 대학에 신입생으로 들어와 과 행사에 참석하고 동아리 활동도 하며 살았던 걸로 드러났다.

취재진은 엑스맨을 찾아내 만났고 가짜 신입생 역할을 해야만 했던 이유를 듣는다. 그는 성장 과정에서 공부를 못하는 사람은 존재 가치가 없다는 의식을 끊임없이 주입 받은 것 같다. 그의 아버지는 대학교수로 엘리트 의식이 강했고 누나 넷은 모두 일류대학에 진학해서 자랑거리가 되었다. 하지만 외동 아들인 자기만 기대에 못 미치는 대학에 진학하자 현실과 조합할 수 없었고 결국 진짜 자신이 아닌 가짜로 살아가기 시작한다.

특이 하지만 슬프기도 한 사연이었다. 본 모습 그대로를 사랑해주는 가족이나 친구가 없었기 때문에 그랬을거라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해 사용하는 인격의 가면을 심리학적 용어로 ‘페르소나'(persona) 라고 한다. 페르소나는 본래 그리스의 고대극에서 배우들이 쓰는 가면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게 심리학적으로 보편적인 단어가 된 건 어느 사람이나 조금씩은 사회적인 필요로 가면을 쓰고 살고 있어서이다.

루이 알튀세르는 알제리 태생, 프랑스 국적의 저명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이다. 그는 <미래는 오래 지속된다> 라는 자서전을 썼다. 그가 유명해진 이유는 학술 작업으로 이름을 떨친 것도 있지만 사랑하는 아내를 목 졸라 죽이는 바람에 그렇게 된 것도 있었다. 그는 의식이 없는 상태로 아내를 죽였다는 이유로 기소 면제 처분을 받았고 감옥 대신 정신 병원에 갇혀서 이 자서전을 집필하게 된다.

저자 루이 알튀세르는 평생 자신의 정체성 없이 다른 사람으로 존재한다고 느꼈다. 그가 왜 그렇게 살 수 밖에 없었는지, 그런 운명을 강요한 가족의 영향과 성장 과정을 되돌아 보는 것이 책의 중심 내용이다. 신입생 엑스맨처럼 그도 진정한 자기로 살 수 없는 굴레를 지고 있었던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타인에게 의존할 수 밖에 없고 또 그래야만 하는 존재이다. 만일 부모의 양육이 병적인 것이라면 아이는 그 운명은 그대로 받을 수 밖에 없다. 루이 알튀세르의 어머니는 어려서 한 남자와 약혼했는데 그는 1차 세계 대전에 징집되어 나가 전쟁터에 전사한다. 하지만 그녀는 이상향과 같던 옛 약혼자를 평생 잊지 못했다. 그래서 죽은 사람 약혼자의 대체물로 그의 형인 샤를르 알튀세르와 결혼 한다. 결혼 후 얻은 첫 아이에게는 옛 약혼자의 이름을 따서 ‘루이’ 라는 이름을 준다.

소년 루이 알튀세르는 어머니가 자기를 자신 그대로 보는 게 아니라 공군 조종사로서 프랑스의 베르덩 하늘에서 죽었던 옛 약혼자의 그림자로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아래는 이에 대한 알튀세르의 말이다.

그러나 이렇게 엄마가 바라는 삶을 사는 것은 가능한 일이면서 동시에 불가능한 일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삶은 “죽음의 영역 안이나 죽음의 환상 속에서 살아가는 것”, 곧 진정한 주체성 없이 이미 죽은 인물의 대체물로서 살아가는 것에 불과했다.

이런 심리의 덫에 걸린 알튀세르는 아무에게도 진정한 사랑을 줄 수 없고 또 어떤 사람의 사랑도 진심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고 느낀다. 사랑은 받아본 사람만이 할 수 있고, 남에게 사랑을 주지 못하면 결국 자신도 사랑받지 못한다. 알튀세르는 자신의 무능력에 대한 두려움에 사로잡혔으면서도, 그와 반대되는 전능에 대한 열망도 키운다. 이는 우울증의 결과인데, 자기 혐오 콤플렉스는 더 파괴적인 에너지를 모아서 발산할 수 밖에 때문이다. 그 파괴의 결말은 자기 부정의 강박 때문에 온전히 사랑해주지 못했던 아내 엘렌느를 목 졸라 죽이는 걸로 나타나고 말았다.